본문
|
(2009. 6. 11. 태영(군) 제공)
安東金氏族譜(丁卯譜 1867年) 譜名 : 정묘보丁卯譜 刊行年度 : 1867年 (高宗4) 卷數 : 冊 서문(序文) : 운손 김도건(雲孫 金道健) 발문(跋文) : 후손 형건재 김목(後孫 馨健齋 金沐) 서문(書文) : 첨손 김용백(忝孫 金用柏) 書誌形態 : 22cm * 34.5cm 板本 : 木活字本 所藏者: 金泰榮(郡) ----------------------------------------- <수록 순서>
밀직사사공 칠우(密直司使公 七祐) 甲一 개성윤공 칠림 (開城尹公 七霖) 甲二 군사공 칠양 (郡事公 七陽) 甲三 전서공 성목 (典書公 成牧) 乙一 부사공 천순 (副使公 天順) 乙二 대사성공 구용 (大司成公 九容) 丙一 낭중공 제안 (郎中公 齊顔) 丙二 안정공 구덕 (安靖公 九德) 丙三 도평의공 구정 (都評議公 九鼎) 丁一 현감공 윤 (縣監公 潤) 戊一 대호군공 유 (大護軍公 儒) 己一 제학공 익달 (提學公 益達) 庚一 판삼사공 장 (判三司公 場) 辛一 판사공 사겸 (判事公 士謙) 壬一 안렴사공 사렴 (按廉使公 士廉) 壬二 충강공 사안 (忠康公 士安) 壬三 익원공 사형 (翼元公 士衡) 壬四 서운관정공 수 (書雲관正公 綏) 癸一
安東金氏族譜序 정묘보(1867) 대개를 기록하여 전한 것이 사기라 하는데, 국사는 사기집필가의 역사의 譜錄이다. 보록의 범례는 강영에 세목을 잡아 매어서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춘추필법이다. 사람의 집에 세대를 이어가는 실마리가 족보가 아니면 어찌할 것인가? 비유하여 말하자면 꽃의 종류가 3백인데, 모두 花譜에 실리어 있어서 꽃을 사랑하는 사람은 그 화보를 알아야지 그 꽃의 근본을 익히 알고, 음악은 20음절이 한 악보에 실리어져 있어서 음악을 알고자 하는 사람은 그 악보를 해득한 후에야 그 음률에 능할 것이니 다 物理가 그러하다. 오직 우리 始林김씨는 태보공(알지)으로 부터 기반을 열어 경순왕에 이르러 폭이 불어 그 손자(숙승) 대에서 안동으로 옮겨심어서 안동으로 득관하여 뿌리가 내렸다. 충렬공께서 안동에 기반을 다진 것이다. 신라와 고려를 거쳐 올동안 자손이 극히 많이 늘어서 충효 勳烈이 家乘에 실린 것뿐만 아니라 특히 국사에 소상히 찬란하게 찬양되어 있고, 글을 잘하고 시도 능하시다고 문중 선인들도 역시 이르시었다.
戊戌譜(1778)는 옛적 것인데 그후 世序와 항렬의 차례와 문장사업의 전통이 다 이어졌다. 庚辰(1580)으로 지금의 壬戌에 이르기까지 세월을 따져보면 세기가 몇이 지나고 乙酉(1825) 수보후 40여년이 지났는데 그간 우리 김씨의 출생은 몇이며, 사망은 몇이며, 출생한 사람의 이름이며, 죽은 사람의 묘소를 족보가 아니면 자세히 알 수 없다. 우리의 선조께서 내리신 혜택 천만대에 미치기까지 자자손손의 화려함도 많은 자손의 뛰어난 자질도 족보가 아니면 그 名行 실적은 고사하고 아무 종친은 아무 할아버지의 몇 대손이며, 아무 일가와 몇촌간이며, 출생한 날짜며, 제삿날이며, 산소좌향이며, 향년의 다소며, 혼인은 어느집과 했다는 것을 알리요
여럿이 논의를 하여 족보를 거듭 간행한 것인데 불초(道健)가 참례하게 된 것은 일을 잘 아는 큰 선비가 없는 것이 아니지만 여러 친족들이 나의 비루한 것은 아랑곳 없이 나이가 많고 족보제도를 조금 짐작한다고 이르고, 주간자라 이르게 되니 과연 송구할 따름이다. 엎드려 생각건대 선대 할아버지가 庚辰(1580) 보역을 주간하시었고, 배운바 없고 용탑한 내가 또 이 일을 내려받으니 감격할 따름이다.
저 壬戌년(1862) 겨울부터 丁卯년(1867)까지 6년동안이나 미뤄 오면서 漏單자는 그만 두고 來單자는 인쇄하여 구보에 모방하여 겨우 1부를 이루었는데 장래의 빛도 나지만 지금 돈목하게 된 것이 다행이다. 하물며 어찌 자랑으로 할 것인가.
본관을 얻은 후로 다 명문거족이라 각파 후손이 전국에 산재하여 있는데, 이 대보를 가지고 말하자면 백 집이 한 집이 되고, 열 할아버지가 한 할아버지가 되어 친하고 서의한 정의며 멀고 가까운 촌수가 한 사람 집에 우애를 두터이 하는 역사의 책이 되니 이 譜役이야말로 장하다 아니할 수 없다.
우리 족보의 찬사는 후손에 입으로 나올 것이니, 문득 이것은 家規라 할 수 있다. 못난 내가 갑자기 사양하지 못하고 지나치게도 세수하고 간략히 서문이라 이르노라 上之四년 丁卯 仲春 雲孫 道健 謹序
※서문(번역문)은 안동김씨 홈 게시판 2002년 7월 16일자 주회 종친 게시물 옮김.
안동김씨족보 1권(安東金氏族譜一卷) 목차(目次) 안동김씨족보서(安東金氏族譜序) / 雲孫 道健 안동김씨족보발(安東金氏族譜跋) / 後孫 馨健齋 沐 안동김씨족보서(安東金氏族譜書) / 忝孫 金用柏 만력팔년경진보서(萬曆八年庚辰譜序) / 左承旨兼修撰官知製 敎 億齡 경진보발(庚辰譜跋) / 戶曹佐郞 齊賢 기미중간세보서(己未重刊世譜序) / 知中樞府事 九十歲 鍰 기미중간세보서(己未重刊世譜書) / 大司諫 濰 기미보발(己未譜跋) / 後孫 漢章 기사(記事) / 知中樞府事兼 五衛將 遇兌 무술중간세보서(戊戌重刊世譜序) / 藝文館 尙瑞院正 光國 을유중간세보서(乙酉重刊世譜序) / 後孫 禹元 태보공사실(太輔公事實) 고이(考異) 태보공유허비명(太輔公遺墟碑銘) 경순왕사실(敬順王事實) 경순영당중건기(敬順影堂重建記) 경순왕영정기(敬順王影幀記) / 後孫 漢章 중수표석(重竪表石) 후손김굉청릉수치소(後孫金硡請陵修治疏) 재소(再소) 능치제문(陵致祭文) 황남전치제문(皇南殿致祭文) 축문식(祝文式) 황남전비명(皇南殿碑銘) 대안군묘지문(大安君墓誌文) 충렬공행장(忠烈公行狀) 충렬공묘갈(忠烈公墓碣) 충렬공유허비(忠烈公遺墟碑) 물계서원이건봉안문(勿溪書院移建奉安文) 문영공부인양천허씨묘지명(文英公夫人陽川許氏墓誌銘) 문숙공묘지(文肅公墓誌) 선세시문(先世詩文) 선세시문발(先世詩文跋) 안동부건치연혁(安東府建治沿革) 무술보범례(戊戌譜凡例) 을유보범례(乙酉譜凡例) 구보오결고이도(舊譜誤缺考異圖) 구보보결대수고이(舊譜譜缺代數考異) 을유보고이(乙酉譜考異) 사록도(沙麓圖) 세항전류(世行傳流) 계림시조탄강도(鷄林始祖誕降圖) 동천사묘도(東川祠廟圖) 경순왕릉산도(敬順王陵山圖) 충렬공묘산도(忠烈公墓山圖) 충렬공유허도(忠烈公遺墟圖) 원류분파도(源流分派圖) 안동김씨세계원류(安東金氏世系源流) 예손용백근지(裔孫用柏謹誌) 안동김씨족보권지일(安東金氏族譜卷之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