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17. 식파정에 있는 백곡공의 편액시 소개

           (2004. 3. 24. 항용(제) 제공)

 

 ankim02-6-72z40.jpg

 

 * 해석자 : 김익수(제. 제주문화재 심사위원)

 

卜築幽居靜散中   터 잡아 집 짓고 그윽한 산속에 은거하니

人疑千古夏黃公   남들은 옛날의 하황공(夏黃公)으로 여기네

今觀斗建風光美   이제 두건(斗建)을 살피니 풍광이 아름다워라

正興桃源趣味同   진정 무릉도원과 같은 감흥이 일어나누나.

               *七言絶句 上平聲 東韻        

 

주: 夏黃公...漢鄞人. 商山四皓의 한 사람. 이름은 崔廣. 夏里에 은거하여 夏黃公이라 함.

   斗建...옛날 절기를 잴 때 북두칠성의 자루가 가리키는 辰을 두건이라 했음. 두건밑에 12辰을 두었다.  여기서는 계절의 뜻.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