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2. 주요 사진 자료 소개

 1) 묘소

 2) 취묵당

 ankim02-6-72a.jpg

<취묵당> (백곡공께서 시문을 짓고 욾던 곳. 충북 괴산읍 능촌리 괴강 옆)

 

 3)각종 문헌

 

 ankim02-6-72b.jpg

   <상기 백곡집 十의 맨 끝에 실려 있는 독수기>

 

 ankim02-6-72c.jpg

<국역 백곡집. 2006. 1. 20. 신범식 선생이 절구 부분만 번역한 것> (2006. 3. 항용(제) 제공)

 (같은 내용으로 문화원 간(좌). 파미르 간(우) 2권으로 나왔다)

 

ankim02-6-72d.jpg

<국역 백곡집 내부-용호>

 

ankim02-6-72e.jpg

<친필--백곡유묵 내부> (2005. 7. 4. 항용(제) 제공)

 

 ankim02-6-72f.jpg

<종남수언>(국립도서관 소장)

 

<상기 백곡필체 해자 해석문>

* 이 백곡 초서 병풍의 해독 및 해석은 李錫浩 문학박사가 하셨습니다. 지난 1985년 원본 소장자이신 백곡 11대손 김규택님이 상기 병풍의 영인본을 제작하면서 함께 부본으로 해석문을 만드셨습니다. 그 해석문(1985. 9. 金奎澤 제작) 자료를 소개하겠습니다.

 

 <백곡(휘 득신) 친필>

1. 본 문필은 백곡할아버지로부터 11대손인 김규택에 이르기까지 대대손손 전하여 오는 백곡 선조의 친필입니다.

 

2. 본인은 증조부(휘 學浩), 조부(휘 相益), 선친(휘 瑞應)을 생전에 모셨고, 자식(丁鏞), 손자(龍康)을 거느리고 있으며, 후손에게 본 文筆을 귀중하게 보존하겠습니다.

 

3. 본 문필은 초서에다 낙관(落款) 기명(記名)을 하지 않으신 선조의 意思로 말미암아 후손이 알아 살피지 못할가 염려되어 9대손 金相益(通政大夫 秘密書司 承原任 奎章閣 典製官)할아버님께서 낙관을 새로 새겨 찍으시어 받들어 온 것이라고 선친으로부터 전해 들었음을 부언합니다.

 

4. 선조의 글을 장롱 속에 묻어 전달하느니보다는 해자(解字) 해석(解釋)하여 후손에게 널리 전수하도록 하는 것이 옳다는 판단 아래 본인은 옵셑 인쇄를 하여 안동김씨 대종회와 대종손댁에 각 1벌씩 보내서 보관케 하는 바입니다.

 

5. 제 3항의 낙관은 현재 본인의 사종제(四從弟)인 김규헌(金奎獻)이 보관중에 있습니다.

 

6. 복사 재발행에 있어서는 유명한 학자들의 교시(교시)를 받들어 해득(解得) 번역하였습니다.

 

      *1차 해자 해석 : 한습재(漢習齋) 我山 柳熙敦 선생

      * 2차 해자 해석 : 운강 李昌燮 선생

        가. 有名 筆績圖鑑, 성균관대학교 필적도감, 동아대학교 필적도감, 각 책 발행, 해자 해석자 각 位에 이창섭임을 확인하였음

        나. 論評에 있어 "내 5-6천 首筆을 보았으나 명필 중의 으뜸가는 명필이라 평하였음.

      * 3차 완전 해자 국역은 문학박사 이석호(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중국문학과 교수, 텔레비젼 명심보감 해설 담당)가 맡아 주셨음.

        가.

 

4) 교지

 

ankim02-6-72g.jpg   ankim02-6-72h.jpg

<교지> (후손 김인응, 김태준 소장)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