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득신(金得臣)1604(선조37)∼1684(숙종10)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백곡공 및 연보 소개

 2.주요 사진 자료 소개

 3.친필 서찰 소개

 4.김가행 교지

 5.제1회 학술발표회

 6.백곡집 판목

 7.묘소 소재지(율리)

 8.사마소 소개

 9.취묵당 소개

10.묘비문 소개

11.교지 촬영 소개

12.각종 설화 소개

13.각종 문헌 자료 소개

14.취묵당 탐방

15.식파정 탐방

16.진천군지의 백곡시

17.식파정의 백곡시

18.박구당 만시

19.독서광 백곡

20.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백곡

21.400주년 탄신 기념

22.백곡집과 연보

23.친필서찰 경매품

24.백곡 2녀 묘소 탐방기

25.순암문집에서

26.백곡집 목차

27.독수기

28.논문-백곡 유묵(遺墨)과 간찰(簡札)두 편

29.제6회백곡 김득신 기념 백일장

30.백곡시 가곡

31.박사논문-백곡김득신연구

 

 

본문

p11.png 25. 안정복의 <순암문집>(順菴文集) 속에 있는 백곡 기록 내용

             (2005. 5. 17. 항용 제공)

출전 : 순암선생문집 제13권 .   잡저(雜著) .     상헌수필 하(橡軒隨筆下)호유잡록(戶牖雜錄)을 함께 덧붙임

 

백곡(柏谷) 김득신(金得臣)이 있으니 자가 자공(子公)인데, 성품이 어리석고 멍청하였으나 글 읽기만은 좋아하여 밤낮으로 책을 부지런히 읽었다. 무릇 고문은 만 번이 되지 않으면 중지하지 않았는데, 백이전(伯夷傳)을 특히 좋아하여 무려 1억 1만 8천 번을 읽었기 때문에 그의 소재(小齋)를 억만재(億萬齋)라 이름하였으며, 문장으로 이름을 드날렸다. 효종(孝宗)이 일찍이,

 

낙엽진 고목에는 찬 안개가 감돌고 / 古木寒煙裏

쓸쓸한 가을 산에 소나기 흩뿌리네 / 秋山白雨邊

 

저무는 강물에 풍랑이 일어나니 / 暮江風浪起

어부는 서둘러서 뱃머리를 돌리누나 / 漁子急回船

 

라고 한 그의 시 용호음(龍湖吟) 한 절구를 보고 이르기를, “당인(唐人)에게 부끄럽지 않다.” 하였다. 판서 유재(游齋) 이현석(李玄錫)이 그의 묘갈(墓碣)에 명(銘)하기를,

 

무회씨와 갈천씨의 순박한 백성이며 / 無懷葛天之民

맹교와 가도처럼 뛰어난 시일러라 / 孟郊賈島之詩

 

80년 마음 가짐 하루와 같았으니 / 行心八十年兮如一日

억만 번 글 읽음이 기이하고 기이터라 / 讀書億萬數兮奇又奇

하였는데, 사람들이 이를 일러 진실된 기록이다 하였다.

 

백곡(柏谷) 김득신(金得臣)이 있으니 자가 자공(子公)인데, 성품이 어리석고 멍청하였으나 글 읽기만은 좋아하여 밤낮으로 책을 부지런히 읽었다. 무릇 고문은 만 번이 되지 않으면 중지하지 않았는데, 백이전(伯夷傳)을 특히 좋아하여 무려 1억 1만 8천 번을 읽었기 때문에 그의 소재(小齋)를 억만재(億萬齋)라 이름하였으며, 문장으로 이름을 드날렸다. 효종(孝宗)이 일찍이,

 

낙엽진 고목에는 찬 안개가 감돌고 / 古木寒煙裏

쓸쓸한 가을 산에 소나기 흩뿌리네 / 秋山白雨邊

저무는 강물에 풍랑이 일어나니 / 暮江風浪起

어부는 서둘러서 뱃머리를 돌리누나 / 漁子急回船

 

라고 한 그의 시 용호음(龍湖吟) 한 절구를 보고 이르기를, “당인(唐人)에게 부끄럽지 않다.” 하였다. 판서 유재(游齋) 이현석(李玄錫)이 그의 묘갈(墓碣)에 명(銘)하기를,

 

무회씨와 갈천씨의 순박한 백성이며 / 無懷葛天之民

맹교와 가도처럼 뛰어난 시일러라 / 孟郊賈島之詩

80년 마음 가짐 하루와 같았으니 / 行心八十年兮如一日

억만 번 글 읽음이 기이하고 기이터라 / 讀書億萬數兮奇又奇

하였는데, 사람들이 이를 일러 진실된 기록이다 하였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