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화산군 연보 1세 (중종7, 1512, 임신, 정덕7)---9월 7일, 태어나다. 20세(중종26, 1531, 신묘, 가정10)---진사시에 합격하다. 28세(중종34, 1539, 기해, 가정18)---11월, 별시 문과에 장원하다. 29세(중종35, 1540, 경자, 가정19)---1월, 수찬이 되다. 6월, 정언이 되다. 30세(중종36, 1541, 신축, 가정20)---이조좌랑이 되다. 사가독서하다. 32세(중종38, 1543, 계묘, 가정22)---경기도사가 되다. 8월, 헌납이 되다. 9월, 부교리가 되다. 12월, 관북어사가 되다. 33세(중종39, 1544, 갑진, 가정23)---2월, 교리에 이어 시강원 문학이 되다. 4월, 좌문학이 되다. 사가독서하다. 모친상을 당하다. 36세(명종2, 1547, 정미, 가정26)---2월, 이조정랑이 되다. 7월, 의정부 검?이 되다. 8월, 의정부 사인이 되다. 10월, 부?교가 되다. 37세(명종3, 1548, 무신, 가정27)---4월, 경기어사가 되어 救荒을 잘 하는지 살피다. 5월, 장령이 되다. 7월, 부교리가 되다. 9월, 사간이 되다. 38세(명종4, 1549, 기유, 가정28)---3월, 부응교가 되다. 5월, 李洪胤의 옥사를 다스리는 데 참여하여 가자받고 兒馬 1필을 하사받다. 6월, 우부승지가 되다. 9월, 병조참지가 되다. 39세(명종5, 1550, 경술, 가정29)---5월, 좌승지가 되다. 이조 예조 참의를 지내다. 40세(명종6, 1551, 신해, 가정30)---남양부사, 도승지를 거쳐 대사간이 되다. 41세(명종7, 1552, 임자, 가정31)---3월, 부제학이 되다. 5월, 대사간이 되다. 9월, 한성부 우윤이 되다. 11월, 성균관 대사성이 되다. 42세(명종8, 1553, 계축, 가정32)---2월, 대사헌이 되다. 대사성이 되어 사은사로 연경에 가다. 43세(명종9, 1554, 갑인, 가정33)---1월, 돌아와 곧 論賞 문제로 헌부의 논계를 받아 파직되다. 서용되어 이조호조 참판을 지내다. 44세(명종10, 1555, 을묘, 가정34)---2월, 전라도 관찰사가 되다. 5월, 왜구가 침입하자 전주부윤 李潤慶을 수성장으로 삼는 등 대응하다. 7월, 왜변 방비의 잘못으로 파직되다. 45세(명종11, 1556, 병진, 가정35)---8월, 개성부 유수가 되다. 47세(명종13, 1558, 무오, 가정37)---8월, 동지중추부사가 되다. 11월, 장예원 판결사를 거쳐 대사성이 되다. 49세(명종15, 1560, 경신, 가정39)---12월, 동지중추부사가 되다. 50세(명종16, 1561, 신유, 가정40)---7월, 황해도 관찰사가 되다. 51세(명종17, 1562, 임술, 가정41)---9월, 동지중추부사가 되다. 10월, 한성부 좌윤이 되다. 52세(명종18, 1563, 계해, 가정42)---1월, 예조 참판이 되다. 홍문관 제학이 되다. <成川圖記>를 지어 올리다. 도총부 부총관이 되다. 5월, 종계개정진청사 겸 진하사로 연경에 가다. 황제의 윤허가 난 뒤, 9월 17일에 玉?館에서 졸하다. 황제가 예부에 명하여 治喪토록 하다. 예조판서에 추증되다. (명종20, 1565, 을축, 가정44)---1월, 여주 백양동 선영에 장사 지내다. (선조23, 1590, 경인, 만력18)---8월, 종계 개정의 공으로 수충익모광국공신 3등에 책록되고, 花山君에 추봉되다. (정조13, 1789, 기유, 건륭54)---6대손 禾+來가 문집을 간행하다. <김래의 跋> (정조14, 1790, 경술, 건륭55)---文端의 시호를 받다. (고종11, 1874, 갑술, 동치13)---후손 文演 등이 문집을 중간하다. <김문연의 重刊跋> <신도비명(이돈우 찬), 연보, 조선왕조실록 등에 의함> <墓表陰記, 神道碑銘(李敦宇 찬), 한국계행보 등에 의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