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 주(金 澍) 1512(중종7)∼1563(명종18)--(안)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문단공 소개

 2. 영정소개

 3. 교지 소개

 4. 연보

 5. 친필소개

 6. 시문소개

 7. 우암유집 소개

 8. 각종 문헌 자료 소개

 9. 영정 봉안기

10. 유물 종합 정리

11. 우암유집 발간 과정 소개

12. 묘표음기

13. 시장

14. 신도비명

15. 국역 우암유집 발간식

16. 춘제 봉행

 

본문

p11.png 7. 우암유집 소개

1)<우암유집 >-- 규장각 소장본 (2002. 2. 26. 항용(제) 조사. 제공)  

      출전 : 규장각 소장본 (복사본)

ankim02-6-49w.jpg

2) <우암집>(중간본)-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  (2003. 4. 12. 발용(군) 제공)

 

내용 : 목활자본. 6권 3책. 저자의 6대손이 1789년(정조 13) 수집 간행하였고, 후손 문연(文演) 등이 1874년(고종 11)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복원(李福源)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연 ·주연(胄演)의 발문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권1에 시 67수, 권2에 서(書) 1편, 소(疏) 3편, 계(啓) 25편, 차(箚) 10편, 권3에 고양세고서(高陽世稿序) 1편, 응제성천도기(應製成川圖記) 1편, 명(銘) 3편,교서 1편, 논(論) 8편, 표(表) 3편, 책(策) 1편, 권4~6은 부록으로 유사(遺事)와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ankim02-6-49x.jpg

 

   3) <우암집>(초간본)--영환 소장본 소개  (2003. 4. 10. 발용(군) 제공)

      1) 입수일시 : 2003. 4. 10일 경     2) 입수자 : 김영환(문온공파)    3) 입수처 : 전문 경매처-<코베이>

      4)출판일시 : 1789년(정조13)     5)편집 간행자 : 6세손 래          6) 판본 : 속판본(7권 1책 )

 

ankim02-6-49z7.jpg

 

 4) <우암유집>(중간본)-후손 金容周 소장본 (소장본 관람-2003. 12. 13. 용주(안) 제공.  사진-2003. 12. 15. 발용(군) 제공)

 

1)판본 : 목판본(6권 3책)      

2)출판 일시 : 1934년         

3)중간본 편집자 :김문연(文演) 보완.      

4)내용 : 이복원(李福源)의 서문. 문연(文演), 주연(胄演)의 중간발문(重刊跋文)이 있음

    5)소장처 : 현재 후손들이 약 10여 권 소장하고 있음

    6)중간본 편집자 소개 (2003. 12. 12. 주회(안) 제공)

  * 김문연(金文演)

1900년대 전반 외부주사를 지냈고, 많은 종사활동과 저술활동을 하였다. ○ 1919년 항우전, 몽학지남, ○ 1926년 안렴사공파 세보 <병인보> 발간에 참여하여 서문을 짓고, ○ 1933년 노정 김재철 조문객 명단에 문연, 주연 등이 함께 명단이 있고, ○ 1934년 주연 등과 함께 우암집을 보완 중간하고 권말에 전 외부주사 문연이 중간발을 썼다. ○ 1935년 대동보 <을해보> 발간에 참여하여 서문을 짓고, ○ 1940년(庚辰 仲夏) 안동 녹전 죽송리 재실 음수재 현판을 書하였다. ○ 족보에 김문연 찬 [원류고증] 이 있다.

ankim02-6-49z11.jpg

 

ankim02-6-49z12.jpg  ankim02-6-49z13.jpg

 

5)<우암유집>목차 소개

寓庵遺集

金澍

寓庵遺集序 (李福源)

333

寓庵遺集總目

335

卷一

336

目錄

336

古詩五言

337

友蓮閣

337

古詩七言

337

應製成川圖詩

337

卷二

338

目錄

338

近體五言

339

贈僧

339

次息波亭韻二首

339

近體七言

339

題屏十絕

339

香山九老

339

商山四

339

太公釣魚

339

伊尹耕田

339

竹林七賢

339

蔡邕知音

339

淵明歸去來

339

蘇仙赤壁

339

子猷訪戴

339

西湖訪梅

339

題林塘香奩後

339

夜夢 得看世何須青白眼 逢人休說毀譽言之句 似是警省狂疎 因聯成近體詩一篇

339

陽城

339

南陽

340

贈僧靈秀

340

贈僧

340

約遊滿月臺 因雨未赴 移設西門樓

340

奉和祖江漁皤 仍送米酒三首

340

次息波亭韻二首

340

金堤東樓韻

340

題水營山亭

340

文化東軒韻四首

340

豐川八景

341

椒島春雲

341

業清秋月

341

雙池蓮萏

341

一徑楊柳

341

縛石積雪

341

清涼曉鍾

341

望德靈祠

341

環館喬木

341

卷三

342

目錄

342

律詩五言

343

343

麻田東軒韻二首

343

江華東軒韻

343

薄書之叢 頭緒倥傯 無暇修答 然盛意不可辜負 聊步來韻 敢博一粲 意且不足 復吟短章一篇 以廣其意云

343

奉次前韻 再示漁皤丈人

343

次山甫韻

343

奉酬祖江丈老苦雨憫窮之作三首

343

李君天章 從諸君遊西江 宿甘露寺 翌日歸來 袖詩示余 仍次韻贈之二首

343

臨陂集勝樓韻二首

344

金堤東軒韻

344

次長連壁上韻

344

阿浪浦三首

344

豐川迎輝樓二首

344

許秀才茅亭二首

344

又次壁上韻二首

344

松禾照鏡軒二首

345

輓申參議復淳淳之

345

卷四

346

目錄

346

律詩七言

347

禁苑應製

347

送鄭都事執中思良赴關北蓮幕 二首

347

次徐仲胤繼卞

347

朴淵二首

347

逸人名

347

次羅州撫夷樓韻

347

三聖臺

347

兔山東軒韻

347

題甕津東軒

348

安岳東軒韻

348

殷栗東軒韻

348

所江東軒韻

348

題安分堂二首

348

次延安平遠堂韻

348

送別朴子悅監軍湖南

348

卷五

349

目錄

349

350

高陽世稿序

350

351

應製成川圖記

351

352

題扇子朝天時

352

墓碑銘

352

叔父北道節度使公 [金公奭]神道碑銘

352

卷六

354

目錄

354

355

張良勸追項羽論

355

裴矩論

356

王朝不諫天書論

357

鄧伯道棄兒論

358

并題

359

人稟策

359

教書

363

教黃海道觀察使趙士秀書

363

科體

363

趙普謝雪夜微行

363

蔡仲謝封蔡

364

孫皓謝拜歸命侯

364

卷七

366

目錄

366

遺事

367

諡狀 (李福源)

369

跋 (金䅘)

371

 

跋=6세손 金래     래=禾+來  

 6) 문집 관련 각종 자료 소개

 (1)■ 한국문집총간 해제2 (2003. 6. 12. 주회(안) 제공)

    P40.  [152] 寓庵遺集

출전 : 우암선생유집(우암유집). 목판본. 1789년刊. 7권1책. 10행20자. 21.9×15.1(cm). 上白魚尾. 규장각장본(奎6516). 叢刊33.

 

⊙ 저자

金澍 : 1512년(중종7)∼1563년(명종18). 자는 應霖. 호는 寓庵, 萬窩. 본관은 안동. 시호는 文端. 봉호는 花山君. 이황, 김인후, 임형수와 교유. 정유길, 심수경 등과 함께 8문장으로 불림.

 

⊙ 가계

성(城, 군수)---공량(公亮, +전의이씨, 현감 팽혜의 녀)---1)완(浣, 현감), 2)척(滌, 첨중), 3)주(澍, 전주이씨 진양수 渶의 녀)

주(澍)---1)正男(좌랑, +具삼수변幹의 녀), 2)厚男(감찰, +李王+咸의 녀), 3)季男(현감, 安景武의 녀), 1녀+尹儼(좌랑), 2녀+李世良(사인), 3녀+鄭文承(사인), 4녀

<墓表陰記, 神道碑銘(李敦宇 찬), 한국계행보 등에 의함>

 

⊙ 편찬 및 간행

저자는 조선 8문장의 한 사람으로 꼽혔던 만큼 많은 작품을 남겨 自編인지 후손에 의해 편찬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詩文集으로 家傳되어 오던 것이 7책이었는데, 왜란과 호란을 겪는 와중에서 대부분 유실되었다. 다만 ★南龍翼이 만든 <箕雅(기아)>와 邑誌에 저자의 작품이 실려 전하고 있을 뿐이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6대손 ★래가 집안 내에 소장되어 있던 禁宴應製詩, 저자가 方伯으로 있을 때 관내 州縣의 亭宇에 題詠한 것, 成川圖記, 論, 表 등을 모으고, <초두빼고蘇齋集> 등에 나오는 저자에 관한 기록과 ★래의 종질 ★得顯이 수집한 자료를 합하여 遺事를 만들고, ★李福源의 序를 받아 모두 7권1책으로 엮어 을유면(1789, 정조13)에 木版本으로 간행하였다.

<초간본> 현재 규장각(奎6516)과 장서각(4-6337)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 뒤 후손 ★文演이 세상에 전하고 있는 乙酉本의 소략함을 한탄하여 다시 諸家의 家藏, 名山의 秘藏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기록들을 찾아 후손 ★胄演 등의 도움을 받아 1874년(고종11)에 6권3책의 活字本으로 중간하였다.

<중간본> 여기에는 書, 疏箚(소차), 啓(계)가 새로 들어가고 詩와 銘, 論은 추가되고, 부록으로 墓表陰記와 神道碑銘 등이 새로 들어가고 遺事가 증보되고, 年譜가 새로 들어갔는데, ★文演은 書牘(서독), 箴(잠), 頌(송)이 미비함을 애석해 하였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D3B-781)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789년에 후손 ★래가 간행한 초간본으로 규장각본이다.

<序(이복원 찬), 跋(김래 찬), 重刊跋(김문연, 김주연 찬) 등에 의함>

 

⊙ 저본의 구성과 내용

본집은 7권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맨 앞에 ★이복원의 序와 總目(총목)이 실려 있고, 권별로 目錄이 따로 붙어 있다.

 

권1-4는 詩이다. 고시 오언과 칠언, 근체시 오언과 칠언, 율시 오언과 칠언으로 분류되어 저작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전체 시의 편수가 87수에 불과하다. 저자의 시는 <箕雅(기아>에 실릴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이복원의 序에서는 <題安分堂> 시의 작품성을 강조하였다.

지방관을 지내면서 남긴 작품이 다수이니, 경기도사 시절에 지은 <陽城>, <麻田東軒韻> 등, 남양부사 시절 지은 <南陽>, 전라도관찰사 시절에 지은 <金堤東軒韻>, <臨陂集勝樓韻> 등, 황해도관찰사 시절의 <友蓮閣>, <文化東軒>, <豊川八景>, <松禾照鏡軒> 등이다.

 

권5는 序, 記, 銘, 墓碣銘이다. 저자의 처조모 ★고양신씨와 관련한 <高陽世稿序>, ★명종이 내린 成川圖에 대해 지은 <應製成川圖記>,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지은 <題扇子(제선자)>, 숙부 ★金公奭의 묘갈명이다.

권6은 論, 策, 敎書, 表이다. 논 4편은 張良, 裵矢+巨, 王朝, 鄧伯道에 관한 것이고, 책은 인품의 고하를 논한 <人品策>이며, 교서는 황해도관찰사 ★趙士秀에게 내린 것이다. 표는 科體로 <趙普謝雪夜微行(조보사설야미행)>, <蔡仲謝封蔡(채중사봉채)> 등 3편이다.

 

권7은 후손 ★김래와 ★김득현이 만든 遺事와 1789년 ★이복원이 지은 諡狀이다. 유사는 <호음집>, <소재집>, <호당록>, 野乘(야승) 등 각종 기록에서 저자 관련 사실들을 수집하여 엮은 것인데 각 語句 아래에 출전을 밝혀 놓았다.

 

맨 끝에 ★김래의 跋이 있다. [鄭弼溶]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암집 (寓菴集 )

조선 중기의 문신 ★김주(金澍)의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789년(정조 13) 6대손 내( )가 편집, 간행하였고, 1874년(고종 11) 후손 문연(文演) 등이 보완,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복원(李福源)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연 · 주연(胄演)의 중간발(重刊跋)이 있다.

권1에 시 67수, 권2에 서(書) 1편, 소(疏) 3편, 계(啓) 25편, 차(箚) 10편, 권3에 서(序) 1편, 기(記) 1편, 명(銘) 3편, 교서 1편 논(論) 8편, 표(表) 3편, 책(策) 1편, 부록인 권4 ∼ 6에 유사와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중에는 저자가 관학유생(館學儒生)으로 있을 때 보담(寶曇) · 행사(行思) 두 중의 목을 베고 봉선(奉先) · 봉은(奉恩) 두 절을 훼철할 것을 제의한 〈 청참승훼사소 請斬僧毁寺疏 〉 가 있다.

계에는 중국의 금제품을 들여오지 말라는 〈 물무중조금물계 勿貿中朝禁物啓 〉 , 마정의 폐단을 지적한 〈 마정정리계 馬政整釐啓 〉 와 그 밖에 소격서(昭格署)의 혁파 및 권신 이기(李?)를 탄핵한 내용들이 있다.

차는 〈 시폐진면차 時弊陳勉箚 〉 · 〈 납충벽이차 納忠闢異箚 〉 · 〈 금억승도차 禁抑僧徒箚 〉 등으로 모두 사료적 가치가 높다. 〈 응제성천도기 應製成川圖記 〉 는 임금이 내린 성천도에 대하여 지은 기문으로, 성천의 지리와 풍토, 그리고 군사적 · 경제적 중요성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논은 모두 중국의 인물을 평한 것이며, 책은 인품의 고하를 따지는 〈 인품책 人稟策 〉 이다. 부록에는 저자의 행적을 적은 기록 이외 이황(李滉) · 김인후(金麟厚) · 임백령(林百齡) 등 당시 명현들의 창수시(唱酬詩)인 〈 제공창수 諸公唱酬 〉 가 있다. 규장각도서 ·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우암집

조선 중기의 문신 ★김주의 시문집. 1789년(정조 13)에 간행되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차 부분.

 

※. 국역 우암유집 소개

 

 ankim02-6-49r.jpg

 

   1) 발간 일시 : 2005. 2. 27.

   2) 역자 : 심경호(고려대 교수)

   3) 발간처 : 우암문집 간행추진위원회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