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1)<우암유집 >-- 규장각 소장본 (2002. 2. 26. 항용(제) 조사. 제공) 출전 : 규장각 소장본 (복사본) 2) <우암집>(중간본)-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 (2003. 4. 12. 발용(군) 제공)
내용 : 목활자본. 6권 3책. 저자의 6대손이 1789년(정조 13) 수집 간행하였고, 후손 문연(文演) 등이 1874년(고종 11)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복원(李福源)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연 ·주연(胄演)의 발문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권1에 시 67수, 권2에 서(書) 1편, 소(疏) 3편, 계(啓) 25편, 차(箚) 10편, 권3에 고양세고서(高陽世稿序) 1편, 응제성천도기(應製成川圖記) 1편, 명(銘) 3편,교서 1편, 논(論) 8편, 표(表) 3편, 책(策) 1편, 권4~6은 부록으로 유사(遺事)와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3) <우암집>(초간본)--영환 소장본 소개 (2003. 4. 10. 발용(군) 제공) 1) 입수일시 : 2003. 4. 10일 경 2) 입수자 : 김영환(문온공파) 3) 입수처 : 전문 경매처-<코베이> 4)출판일시 : 1789년(정조13) 5)편집 간행자 : 6세손 래 6) 판본 : 속판본(7권 1책 )
4) <우암유집>(중간본)-후손 金容周 소장본 (소장본 관람-2003. 12. 13. 용주(안) 제공. 사진-2003. 12. 15. 발용(군) 제공)
1)판본 : 목판본(6권 3책) 2)출판 일시 : 1934년 3)중간본 편집자 :김문연(文演) 보완. 4)내용 : 이복원(李福源)의 서문. 문연(文演), 주연(胄演)의 중간발문(重刊跋文)이 있음 5)소장처 : 현재 후손들이 약 10여 권 소장하고 있음 6)중간본 편집자 소개 (2003. 12. 12. 주회(안) 제공) * 김문연(金文演) 1900년대 전반 외부주사를 지냈고, 많은 종사활동과 저술활동을 하였다. ○ 1919년 항우전, 몽학지남, ○ 1926년 안렴사공파 세보 <병인보> 발간에 참여하여 서문을 짓고, ○ 1933년 노정 김재철 조문객 명단에 문연, 주연 등이 함께 명단이 있고, ○ 1934년 주연 등과 함께 우암집을 보완 중간하고 권말에 전 외부주사 문연이 중간발을 썼다. ○ 1935년 대동보 <을해보> 발간에 참여하여 서문을 짓고, ○ 1940년(庚辰 仲夏) 안동 녹전 죽송리 재실 음수재 현판을 書하였다. ○ 족보에 김문연 찬 [원류고증] 이 있다.
5)<우암유집>목차 소개
跋=6세손 金래 래=禾+來 6) 문집 관련 각종 자료 소개 (1)■ 한국문집총간 해제2 (2003. 6. 12. 주회(안) 제공) P40. [152] 寓庵遺集 출전 : 우암선생유집(우암유집). 목판본. 1789년刊. 7권1책. 10행20자. 21.9×15.1(cm). 上白魚尾. 규장각장본(奎6516). 叢刊33.
⊙ 저자 金澍 : 1512년(중종7)∼1563년(명종18). 자는 應霖. 호는 寓庵, 萬窩. 본관은 안동. 시호는 文端. 봉호는 花山君. 이황, 김인후, 임형수와 교유. 정유길, 심수경 등과 함께 8문장으로 불림.
⊙ 가계 성(城, 군수)---공량(公亮, +전의이씨, 현감 팽혜의 녀)---1)완(浣, 현감), 2)척(滌, 첨중), 3)주(澍, 전주이씨 진양수 渶의 녀) 주(澍)---1)正男(좌랑, +具삼수변幹의 녀), 2)厚男(감찰, +李王+咸의 녀), 3)季男(현감, 安景武의 녀), 1녀+尹儼(좌랑), 2녀+李世良(사인), 3녀+鄭文承(사인), 4녀 <墓表陰記, 神道碑銘(李敦宇 찬), 한국계행보 등에 의함>
⊙ 편찬 및 간행 저자는 조선 8문장의 한 사람으로 꼽혔던 만큼 많은 작품을 남겨 自編인지 후손에 의해 편찬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詩文集으로 家傳되어 오던 것이 7책이었는데, 왜란과 호란을 겪는 와중에서 대부분 유실되었다. 다만 ★南龍翼이 만든 <箕雅(기아)>와 邑誌에 저자의 작품이 실려 전하고 있을 뿐이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6대손 ★래가 집안 내에 소장되어 있던 禁宴應製詩, 저자가 方伯으로 있을 때 관내 州縣의 亭宇에 題詠한 것, 成川圖記, 論, 表 등을 모으고, <초두빼고蘇齋集> 등에 나오는 저자에 관한 기록과 ★래의 종질 ★得顯이 수집한 자료를 합하여 遺事를 만들고, ★李福源의 序를 받아 모두 7권1책으로 엮어 을유면(1789, 정조13)에 木版本으로 간행하였다. <초간본> 현재 규장각(奎6516)과 장서각(4-6337)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 뒤 후손 ★文演이 세상에 전하고 있는 乙酉本의 소략함을 한탄하여 다시 諸家의 家藏, 名山의 秘藏 등에서 저자와 관련된 기록들을 찾아 후손 ★胄演 등의 도움을 받아 1874년(고종11)에 6권3책의 活字本으로 중간하였다. <중간본> 여기에는 書, 疏箚(소차), 啓(계)가 새로 들어가고 詩와 銘, 論은 추가되고, 부록으로 墓表陰記와 神道碑銘 등이 새로 들어가고 遺事가 증보되고, 年譜가 새로 들어갔는데, ★文演은 書牘(서독), 箴(잠), 頌(송)이 미비함을 애석해 하였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D3B-781)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789년에 후손 ★래가 간행한 초간본으로 규장각본이다. <序(이복원 찬), 跋(김래 찬), 重刊跋(김문연, 김주연 찬) 등에 의함>
⊙ 저본의 구성과 내용 본집은 7권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맨 앞에 ★이복원의 序와 總目(총목)이 실려 있고, 권별로 目錄이 따로 붙어 있다.
권1-4는 詩이다. 고시 오언과 칠언, 근체시 오언과 칠언, 율시 오언과 칠언으로 분류되어 저작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전체 시의 편수가 87수에 불과하다. 저자의 시는 <箕雅(기아>에 실릴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이복원의 序에서는 <題安分堂> 시의 작품성을 강조하였다. 지방관을 지내면서 남긴 작품이 다수이니, 경기도사 시절에 지은 <陽城>, <麻田東軒韻> 등, 남양부사 시절 지은 <南陽>, 전라도관찰사 시절에 지은 <金堤東軒韻>, <臨陂集勝樓韻> 등, 황해도관찰사 시절의 <友蓮閣>, <文化東軒>, <豊川八景>, <松禾照鏡軒> 등이다.
권5는 序, 記, 銘, 墓碣銘이다. 저자의 처조모 ★고양신씨와 관련한 <高陽世稿序>, ★명종이 내린 成川圖에 대해 지은 <應製成川圖記>,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 지은 <題扇子(제선자)>, 숙부 ★金公奭의 묘갈명이다. 권6은 論, 策, 敎書, 表이다. 논 4편은 張良, 裵矢+巨, 王朝, 鄧伯道에 관한 것이고, 책은 인품의 고하를 논한 <人品策>이며, 교서는 황해도관찰사 ★趙士秀에게 내린 것이다. 표는 科體로 <趙普謝雪夜微行(조보사설야미행)>, <蔡仲謝封蔡(채중사봉채)> 등 3편이다.
권7은 후손 ★김래와 ★김득현이 만든 遺事와 1789년 ★이복원이 지은 諡狀이다. 유사는 <호음집>, <소재집>, <호당록>, 野乘(야승) 등 각종 기록에서 저자 관련 사실들을 수집하여 엮은 것인데 각 語句 아래에 출전을 밝혀 놓았다.
맨 끝에 ★김래의 跋이 있다. [鄭弼溶]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암집 (寓菴集 ) 조선 중기의 문신 ★김주(金澍)의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789년(정조 13) 6대손 내( )가 편집, 간행하였고, 1874년(고종 11) 후손 문연(文演) 등이 보완,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복원(李福源)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연 · 주연(胄演)의 중간발(重刊跋)이 있다. 권1에 시 67수, 권2에 서(書) 1편, 소(疏) 3편, 계(啓) 25편, 차(箚) 10편, 권3에 서(序) 1편, 기(記) 1편, 명(銘) 3편, 교서 1편 논(論) 8편, 표(表) 3편, 책(策) 1편, 부록인 권4 ∼ 6에 유사와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중에는 저자가 관학유생(館學儒生)으로 있을 때 보담(寶曇) · 행사(行思) 두 중의 목을 베고 봉선(奉先) · 봉은(奉恩) 두 절을 훼철할 것을 제의한 〈 청참승훼사소 請斬僧毁寺疏 〉 가 있다. 계에는 중국의 금제품을 들여오지 말라는 〈 물무중조금물계 勿貿中朝禁物啓 〉 , 마정의 폐단을 지적한 〈 마정정리계 馬政整釐啓 〉 와 그 밖에 소격서(昭格署)의 혁파 및 권신 이기(李?)를 탄핵한 내용들이 있다. 차는 〈 시폐진면차 時弊陳勉箚 〉 · 〈 납충벽이차 納忠闢異箚 〉 · 〈 금억승도차 禁抑僧徒箚 〉 등으로 모두 사료적 가치가 높다. 〈 응제성천도기 應製成川圖記 〉 는 임금이 내린 성천도에 대하여 지은 기문으로, 성천의 지리와 풍토, 그리고 군사적 · 경제적 중요성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논은 모두 중국의 인물을 평한 것이며, 책은 인품의 고하를 따지는 〈 인품책 人稟策 〉 이다. 부록에는 저자의 행적을 적은 기록 이외 이황(李滉) · 김인후(金麟厚) · 임백령(林百齡) 등 당시 명현들의 창수시(唱酬詩)인 〈 제공창수 諸公唱酬 〉 가 있다. 규장각도서 ·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우암집 조선 중기의 문신 ★김주의 시문집. 1789년(정조 13)에 간행되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차 부분.
※. 국역 우암유집 소개
1) 발간 일시 : 2005. 2. 27. 2) 역자 : 심경호(고려대 교수) 3) 발간처 : 우암문집 간행추진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