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제갑(金悌甲) 1525(중종20)∼1592(선조25)--(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문숙공 소개 및 연보

2. 주요 사진자료

3. 기타 주요 자료 소개

1) 친필서찰

2) 영원산성

3) 충효열 삼정문

4) 신도비명

5) 충혼비 소개

6) 교지 소개

7) 영원산성 광고물

8) 충렬사 복원

4. 문숙공 시문관련 소개

5. 각종문헌 자료

6. 주요 역사 탐방

1) 영원산성

2) 호국사

 

본문

p11.png 3. 기타 중요 자료 소개

8) 원주 충렬사(忠烈祠) 복원 준공식 및 제향 (2009. 5. 13. 항용(제) 제공)

 

지난 5월 7일 강원도 원주시에서는 임진왜란때 원주목사로서 원주 영원산성에서 부인 전주이씨와 아들 시백과 함께 장렬하게 순절하신 문숙공 휘 제갑(悌甲, 제학공 7대손) 선조님을 모신 충렬사(忠烈祠)를 복원하고 준공식 및 제향을 거행하였습니다. 이 행사에 우리 문중에서는 약 40여 명이 참석하였습니다. 행사 참여기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일시 : 2009. 5. 7.(목)  

   *준공식 : 10:00시  

   *제향   : 11:00시  

2. 장소 :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산402-3번지   

3. 충렬사 복원 건립 사업 소개

  1) 사업 목적  

    가) 국가와 향토 수호를 위해 순절한 선열의 애국 충정 숭상

    나) 충효사상을 고취하고 원주인의 정신적 표상으로 찬양

   2) 사업 개요

    가) 위치 : 원주시 행구동 산402-3번지 일원

    나) 규모 : 부지-8,015㎡. 건축-195㎡

    다) 주요 시설 : 사당, 내삼문, 재실, 외삼문, 비각, 관리동 등.

    라) 사업비 : 22억원(도비-11억원, 시비-11억원)

    마) 배향인물 : 원충갑(元忠甲), 김제갑(金悌甲), 원호(元豪)

   3) 추진상황

    가) 2008. 3. 6.  : 건축, 토목 착공

    나) 2008. 5. 15. : 사당 상량식

    다) 2008. 11.     : 1차 공사 완료

    라) 2008. 12.     : 2차 공사 완료

    마) 2009.   3.     : 사당 제단, 안내판 등 설치

 

5. 참가 종친(무순)-43명

   1)서울(3명) : 봉회(도,대종회부회장), 광도(문,문온공종손), 항용(제)

   2)청주(6명) : 영묵(전제학공파회장, 전청주종친회장), 태환(제), 한식(제학공파부회장), 영회(제학공파 비안공종회장), 태성(제), 김홍순(괴산 충민사 해설사)

   3)병천(4명) : 남응(대종회장), 천응(제), 태억(제), 동호(제)

   4)증평(1명) : 용두(제)

   5)괴산(18명) : 학응(전제학공파회장, 전문영공종회장), 태옥(제, 이하 제학공파), 성수, 규문, 만응, 규호, 태호, 태관, 주응, 우용, 태석, 태섭, 경수, 부인2, 이호영(충민사 해설사), 김교은(경주인), 기타1  

   6)제천(1) : 상천(제학공파회장)

   7)원주(5명) : 대호(제.전 원주종친회장), 규영(제. 원주 종친회장) 외 3인

   8)수원(2명) : 재영(익), 태철(익)

   9)일산(1명) : 관묵(안. 전 대종회사무총장)

   10)광주(1명) : 명렬(제학공파부회장)

-------------------------------------------------

 

이른 아침 6시 15분, 1차 집결지인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 5번 출구 앞에서는 3명(봉회, 광도, 항용)이 탄 전세버스가 증평을 행하여 출발했다. 날씨는 5월의 여왕을 한껏 자랑하고 있었다.

 

ankim02-6-51z43.jpg

 잠실 종합운동장 앞의 전세 버스(광명관광 의뢰)

 

7시 40분 증평 군청앞에 도착하여 대종회장님을 비롯한 종친 11분을 태우고 잠시 쉬었다가 08시 25분 괴산에 도착하여 다시 18명을 태우고 총 32명은 원주로 향했다. 가까울 줄 알았던 원주 행사장은 10시가 되어도 나타나질 않았다.

 

ankim02-6-51z44.jpg

  증평군청 앞

 

ankim02-6-51z45.jpg

  차내의 모습

 

원주고등학교 앞에서 규영 원주종친회장님을 만나 행사장에 도착해 보니 준공식은 한창 진행 중이었다. 시간 계산을 잘못한 우리의 책임이 컸다. 부끄러움을 감내해야 했다. 현장에서 원주 종친 여러분과 상천제학공파회장님, 대호전원주종친회장님, 수원에서 승용차로 오신 재영(익), 태철(익)님, 경기도 광주에서 개인 승용차로 오신 명렬(제학공파부회장)님을 만났다.  

 

식장에는 강원도지사, 지역국회의원, 원주시장, 의회의장 등 약 200여 명이 모여 있었다. 성수(제. 문숙공 직손) 종친의 충렬사현판 기증식이 있은 후 테이프 절단식을 한 다음 원주시 제례위원회가 거행하는 제향에 참석했다.

 

ankim02-6-51z46.jpg

  행사장에서 충렬사 현액 기증서 전달

 

ankim02-6-51z47.jpg

   충렬사 현액(1개월전 전달하여 보존 처리를 한 상태임)

 

ankim02-6-51z48.jpg

   충렬사 현액

 

ankim02-6-51z49.jpg

   식장 모습

 

ankim02-6-51z50.jpg

   준공 테이프 절단

 

충렬사 모든 건물은 잘 지어져 있었다. 특히 문숙공과 배위, 아드님의 3위를 모신 정려문이 세워졌고 원주역 앞에 덩그렇게 서 있던 충렬비도 이곳으로 옮겨 비각까지 갖추어 세워졌다.

 

ankim02-6-51z51.jpg

  입구의 충렬사 중건비

 

ankim02-6-51z52.jpg

  홍살문

 

ankim02-6-51z53.jpg

  충렬문

 

ankim02-6-51z54.jpg

   충렬문 현판

 

ankim02-6-51z55.jpg

  충렬비와 비각

 

ankim02-6-51z56.jpg

  충렬비각 현판

 

ankim02-6-51z57.jpg

  충렬비각 해설판

 

ankim02-6-51z58.jpg

   충효열 정려각

 

ankim02-6-51z59.jpg

  문숙공(휘 제갑) 정려현판

 

ankim02-6-51z60.jpg

  참의공(휘 시백) 정려현판

 

ankim02-6-51z61.jpg

   정경부인 전주이씨 정려현판

 

ankim02-6-51z62.jpg

  충숙문(중문)

 

ankim02-6-51z63.jpg

  충숙문 현판

 

ankim02-6-51z64.jpg

  정려각 맞은편 재실의 현판

 

ankim02-6-51z65.jpg

  충렬사

 

ankim02-6-51z66.jpg

   충렬사 현판(원본을 복제한 것임)

 

ankim02-6-51z67.jpg

  충렬사 내부 (중앙은 주벽인 원충갑, 좌측은 3번째인 원호)

 

ankim02-6-51z68.jpg

  우측의 문숙공 위패

 

ankim02-6-51z69.jpg

  문숙공 위패

 

제향은 종묘 제례악까지 겸하여 아주 웅장하고 멋스럽게 진행되었다. 초헌관은 원주시장, 아헌관은 원경묵(시의회의장), 종헌관은 강태연(원주문화원방)이었다.  약 40여 분에 걸친 의식이 끝난 후 종친 일동은 사당내로 들어가 문숙공께 참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원주시에서 제공한 중식을 들고 오후 2시 30분 버스에 올라 귀가길에 올랐다.

 

ankim02-6-51z70.jpg

  충렬사 앞에 제향을 위해 도열한 종친 및 참배객

 

ankim02-6-51z71.jpg

 

ankim02-6-51z72.jpg

  제향 도열 종친들

 

ankim02-6-51z73.jpg

  제례 시작

 

ankim02-6-51z74.jpg

  초헌관 강신 및 헌작

 

ankim02-6-51z75.jpg

  독축

 

ankim02-6-51z76.jpg

  독축문

 

ankim02-6-51z77.jpg

  제례후 제관, 집사, 종친들이

 

ankim02-6-51z78.jpg

  종친들의 기념촬영

 

ankim02-6-51z79.jpg

  입구의 안내도

 

ankim02-6-51z80.jpg

  입구 안내판

 

ankim02-6-51z81.jpg

  종친들이 보낸 축하 화환

 

ankim02-6-51z82.jpg

  이날 배포한 홍보 책자

 

ankim02-6-51z83.jpg

  2006년 원주시에서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 주포리에 세운 경천묘(경순왕 영정각)

 

ankim02-6-51z84.jpg

  충렬사 안내문

 

충주에서 일행은 탄금대에서 잠시 머물러 임란 당시의 함성과 비극도 되새기고 , 아침 길의 역순으로 괴산, 증평을 거쳐 서울에 오니 오후 6시 40분이었다. 이날 전세버스비 및 각종 차내 음료수 등 일체의 비용을 문숙공의 직손이신 충북 괴산 능촌리의 성수님이 제공했다.  라일락 향기와 함께 싱그러운 오월의 봄날은 그렇게 갔다.

 

ankim02-6-51z85.jpg

  도열한 종친들

 

ankim02-6-51z86.jpg

  출렬사 내부 문숙공께 참배하는 종친 일동

 

ankim02-6-51z87.jpg

  중식때 담소하는 종친들

 

ankim02-6-51z88.jpg

  종친들

 

ankim02-6-51z89.jpg

  종친들

 

ankim02-6-51z90.jpg

  돌아오는 길에 들른 원주역 앞의 문숙공 충렬탑

 

ankim02-6-51z91.jpg

  귀가길에 들른 충주 탄금대 노래비

 

<주요 사진 장면>(2009. 3. 7. 성수(제) 제공)

 

ankim02-6-51z92.jpg

    충렬사 원경

 

ankim02-6-51z93.jpg

  충렬사 원경

 

ankim02-6-51z94.jpg

  충렬사 근경

 

ankim02-6-51z95.jpg

  충렬사 후면

 

ankim02-6-51z96.jpg

  내부 사당

 

ankim02-6-51z97.jpg

 내삼문  

 

ankim02-6-51z98.jpg

   내삼문

 

ankim02-6-51z99.jpg

  재실

 

ankim02-6-51z100.jpg

  정려각

 

ankim02-6-51z101.jpg

  문숙공(휘 김제갑) 정려각

 

ankim02-6-51z102.jpg

   충효열각 현판

 

ankim02-6-51z103.jpg

  문숙공 비각(원주 역전의 충렬비를 옮긴 것이다)

 

ankim02-6-51z104.jpg

   외삼문

 

ankim02-6-51z105.jpg

   입구 관리동

 

ankim02-6-51z106.jpg

  관리동 내부 시설

 

ankim02-6-51z107.jpg

  안내판

 

ankim02-6-51z108.jpg

  홍살문

 

ankim02-6-51z109.jpg

  하마비

 

ankim02-6-51z110.jpg

  입구의 음수대

 

ankim02-6-51z111.jpg

  입구의 안내표석

 

ankim02-6-51z112.jpg

  외삼문 현판

 

ankim02-6-51z113.jpg

  사당 입구

 

ankim02-6-51z114.jpg

 사당 현판

 

(이 현판은 훼철되기 전 원주 충렬사에 있던 현판을 복제한 것이다. 원본은 현재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의 충민사 내의 구 사당에 있는데  1670년(현종11) 현종이 하사한 어필 사액이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