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묘소>(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2002. 10. 항용(제) 촬영 제공)
<묘비석>
<문숙공, 충무공이 함께 배향되어 있는 충민사 경내의 구 사당> (2001. 10. 항용(제) 촬영 제공)
<충민사 경내의 구사당에 있는 문숙공 위패> (2004. 5. 10. 성수(제) 제공)
충민사 경내에 있는 이 구사당은 현 충민사 자리에 조선 선조때부터 있어 온 사당(불천지위)으로 문숙공(휘 제갑)의 위패를 모시고 있던 곳이다. 그런데 고종때 진주의 충민사가 훼철되자 이곳에 충무공(휘 시민)의 위패를 이곳에 함께 합사하였다. 그 후 1977년, 충무공의 묘소를 충주시 살미면 무릉동에서 이곳으로 모셔 오면서 약 20여 호가 살고 있던 가옥을 현 능촌리 마을로 이주시키고 충민사를 새로 중건(1978)하였고, 구사당은 원 위치에서 약간 우측으로 이축하였다.
<선조대왕 친필> 一隅孤城萬古三綱 (현 괴산 충민사 구사당에 보관)
<구 사당 향사 장면. 2003. 5. 8.> (2004. 5. 9. 성수(제) 제공)
<충렬탑과 충렬비 앞면-원주역전> (1992. 1. 항용(제) 촬영 제공)
<충렬탑과 충렬비 뒷면-원주역전> (2005. 5. 18. 발용(군) 제공)
<충렬비>(2005. 5. 18. 발용(군) 제공)
<충렬탑 뒷면>(2005. 5. 18. 발용(군) 제공)
<원주 영원산성> (2007. 4. 8. 항용(제) 제공) <영원산성 입구의 해설비>
<해설판>
<영원산성-새로 축성한 곳>
<영원산성 옛돌모습>
<영원산성의 성가퀴가 끝난 부분>
<영원산성의 맨 끝 부분>
<문숙공 제각-괴산읍 능촌리 내>(2002. 5. 항용(제. 촬영 제공)
<교지> (1711년(숙종 37)에 받은 영의정 추증 교지)
<신도비-괴산 충민사 경내>
<의재유고>
<충.열.효 삼정문 현액> (2003. 10. 3. 항용 촬영 제공)
<삼정문 현액에 대해> 1) 괴산읍 능촌리 金成銖(문숙공 14대손) 보관중 2) 1711년(숙종 37)에 영의정에 추증된 후 받은 <충열효 삼정문 현액>을 1787년(정조11)에 중건한 것임. <上十一年丁未重建>이라 기록되어 있음 3) 원주의 충렬비(1670. 3. 건립. 생원 鄭錫衡 찬)에 의하면 <--만력 무신년(1608)에 옛 정승 完平, 白沙가 김공이 출생한 마을에 정표문려(旌表門閭)를 세우도록 건의하여 이제 그 마을에 충신 효자 열녀의 정문이 서 있고--> 로 보아 상기의 것과 다른 정려와 현판이 괴산의 능촌리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됨) 4) 원판 재질은 적송인 것 같으며 현재 양호한 상태임. 5) 상기 현액 촬영 기념 사진, 좌로부터 恒鏞, 永銖, 奎文, 成銖, 相錫
<상아 홀(笏)>
1) 소장과정 : 1578년(선조 11. 54세) 공마관압사(貢馬菅押使)로 연경에 갔다 올 때 공이 크므로 명의 神宗皇帝로부터 비단4필, 말 1필과 함께 위 상아 홀을 하사 받으심 2) 현 소장처 : 후손이 보관 중
<문숙공 묘역 우측에 있는 차자 참의공(휘 시백)의 단소와 배위 묘소>(2002. 10. 항용(제) 촬영 제공)
<참의공(휘 시백) 관련 자료>
<참의공(휘 시백) 단소>
김시백(金時白) : 자는 자장(子長). 문숙공 김제갑의 차자. 임란때 부친을 따라 원주의 영원산성에서 왜군과의 전투에서 장렬한 전사를 하였다.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문숙공 신도비 기록 내용> 소자(小子) 시백(時伯)은 공(公)을 따라 성에 들어가 궁시(弓矢)를 잡고 힘을 다해 강하게 막다가 성이 함락됨을 보고 궁시(弓矢)를 그 종에게 주며 말하기를 " 너희들은 이것을 가지고 살길을 취하라. 나는 부모가 다 돌아가셨는데 도망갈 뜻이 없다."하고 하직(下職)하고 공(公)의 시체를 붙들고 잠시도 떠나지 않다가 적의 칼에 몸과 머리가 두 조각이 나니 공(公)의 집에 소속된 식구가 다 적(賊)의 칼날에 죽었다. 이것은 임진(壬辰) 8月 25일이었다. 이때 공(公)의 나이 68세이고 부인 56세이고 소자(小子)는 21세였다.
*<삼강록에 기록된 참의공(휘 시백) 자료> (2007. 11. 17. 은회(익) 제공) (孝子金時伯) 金時伯 贈 參議 字(子長) 悌甲 之子壬辰 毅齋 殉節 之日謂人曰父死子何忍獨生抱父而同死 宣廟 聞而嗟賞曰一門忠孝萬古綱常旌閭出邑誌
출전:한국학중앙연구원
<묘역 아래에 있는 묘역 조성기> <공주 공산성의 충청도 관찰사 불망비> (2005. 6. 17. 항용(제) 촬영 제공)
<관찰사 不忘碑>-1649년(인조 27년) 경에 충남 공주군 공주 공산성에 세웠던 것인데 훼손 분실됨. 이에 1992년 안동김씨 공주문중회에서 주관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문중 역대 선조 4위 관찰사 불망비를 세움. 우로부터-金悌甲, 金億齡, 金時獻, 金素
<공산성 입구 비석군>
<공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