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1) 조선왕조실록에서 

(2003. 10. 11. 윤만(문) 제공)

판의금 부사(判義禁府事) 김시양(金時讓)의 졸기(卒記)

≪출전 : 인조실록 44권 인조21년 5월13일(을사)≫

 

--전 판의금 부사 김시양(金時讓)이 충주(忠州)에서 죽으니 상이 관곽(棺槨)과 조묘군(造墓軍)을 내려 주라고 명하였다.

--시양의 초명은 시언(時言)인데 젊었을 때 재주와 국량이 있었다. 광해조 때 전라도사(全羅都事)가 되어 시원(試院)을 주관하면서 ‘신하가 임금 보기를 원수처럼 한다.[臣視君如仇讐]’는 글로 논제(論題)를 냈었는데, 그를 좋아하지 않은 자가 죄를 얽어 북변(北邊)으로 귀양갔었다. 반정 이후에 청현직을 두루 거치고 여러 차례 지방을 맡아 다스렸는데 상당히 치적이 있었으며 청렴하고 간소하다는 칭송을 받았다. 상이 매우 깊이 돌보고 사랑하여 몇 해 사이에 병조 판서와 체찰사에 발탁하여 제수하였는데, 나중에 청맹과니로 충추에 물러나 살다가 이때에 죽은 것이다.

 

☞ '조선조문인졸기'(신현규 저)에는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가 아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되어 있음. '하담 김시양 문집'을 살펴보니 '판중추부사 겸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사(判中樞府事 兼 判義禁府事 知經筵春秋館事)'로 되어 있는 바 이는 조선왕조실록 사용 원전에 따른 차이로 생각됩니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