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4) 기문총화에서

(2003. 10. 25. 발용(군) 제공)

가) 김시양의 일화 소개-사돈이라도 법대로 처리한 김시양

 

판서 김시양이 왕명을 받들어 영남지방을 순시하고 있었다.

어느 한 고을에서 계책을 잘못 세워 시기를 놓쳤으므로 그 곳 향청의 좌수를 잡아다가 형틀에 올려놓고 볼기를 드러내 곤장을 치려고 하였다.

홀연 밖에서 어떤 자가 들어와 자신의 몸을 좌수의 볼기 위에 덮는 것이었다. 그는 판서의 사위인 이도장이었고, 결박된 사람은 곧 이도장의 숙부였다.

김시양이 사위를 꾸짖었다. “내가 사위 하나 때문에 국법을 폐하겠는냐?” 김시양은 나졸에게 사위를 끌고 가라고 명한 뒤, 그 숙부에게 곤장을 쳤다.

이도장은 곧 판서를 지낸 이원정의 아버지로, 한림과 이조의 낭관 벼슬을 지낸 사람이다.

 

<기문총화에서 옮김>

기문총화 [ 記聞叢話 ]

 

조선시대 명사(名士)들의 일화 ·시화(詩話) ·항담(巷談) ·소화(笑話) 등을 모은 수필집.

소장 : 국립중앙도서관

 

필사본. 2책. 편자 ·간행연대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상권에는 〈이토정신이지술(李土亭神異之術)〉 등의 제목을 붙인 56종의 설화, 하권에는 《지봉유설(芝峯類說)》 《기재잡기(寄齋雜記)》 《죽창한화(竹窓閑話)》 《국당배화(菊堂俳話)》 《수문쇄록(聞鎖錄)》 《회은잡지(晦隱雜識)》 《용재총화(齋叢話)》 《수촌만록(水村漫錄)》 《필원잡기(筆苑雜記)》 《파인지소록(巴人識小錄)》 《어우야담(於于野談)》 《백운소설(白雲小說)》 등 30여 종의 책에서 약 250여 종의 각종 설화를 뽑아 실었다. 허구와 사실을 혼동한 결점이 있다.

 

나) 꿈에 얻은 시의 예언이 적중한 김시양

 

판서 김시양은 광해군 때에 종성으로 귀양을 갔는데, 어떤 이가 시를 지어 주었다.

그 가운데 한 연을 기억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不到觀魚海  관어대가 있는 바다에 가지 않고, 何由見太平  어떻게 태평성대를 볼 것인가.

그 당시에는 그 뜻을 알지 못하였다. 그 뒤, 영해로 귀양지를 옮겨서 관어당 아래에 거처하게 되었다. 그리고 계해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서야 비로소 서울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문총화에서 옮김>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