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8. 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9)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에서 (2004. 9. 1. 항용(제) 제공)

숭혜전을 중건하신 하담공 기록

하담 김시양선조님이 경주의 숭혜전이 임란때 불에 타 없어지자 인조 5년(1627)에 관찰사로서 동천촌에 사당을 지으신 기록

  출전 :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

ankim02-6-64z137.jpg

<현 숭혜전>

 

종   목   문화재자료   256호

명   칭   숭혜전  (崇惠殿)

분   류   사묘재실

수   량   일곽

지정일   1992.07.18

소재지   경북 경주시 황남동 216

소유자   신라숭혜전보존회

관리자   신라숭혜전보존회

 

신라 최초의 김씨 임금인 13대 미추왕과 삼국을 통일한 30대 문무왕,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처음에는 월성에 사당을 짓고 경순왕의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다. 그 뒤 위패만 모시고 제사를 지내다가 인조 5년(1627)에 관찰사 김시양이 동천촌에 새로 사당을 지어 위패를 모셨다. 정조 18년(1794)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으며 고종 24년(1887)부터 미추왕의 위패를, 그 이듬해에는 문무왕의 위패도 모시게 되었다.

 

고종 때 숭혜전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이곳에는 경순왕 유허비와 석조물들도 함께 전한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