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시양(金時讓)1581(선조14)∼1643(인조21)--(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충익공소개 및 연보

2. 각종 사진

3. 친필 서찰 소개

4. 각종 도서관소장 목록

5. 신도비

6. 묘비문

7. 주요자료 - 1) 하담김시양문집

2) 유배지 영해탐방기

3) 묘비 건립 고유제

4) 신도비 문화재지정

5) 신도비 탁본과 탐방기

8. 각종 문헌 기록 종합 - 1) 조선왕조실록

2) 성소부부고

 3) 한국문헌설화

 4) 기문총화

 5) 연려실기술

 6) 대동기문

 7) 해사록에서

 8) 조선조 청백리

 9) 국가종합서비스

10) 계곡선생집

11) 지봉선생집

12) 택당집

13) 약봉유고

14) 만운집

15) 다시 쓰는 택리지

16) 고산유고에서

17) 성옹유고에서

18) 충익공행장

 

본문

p11.png 7. 주요자료

1) 하담 김시양 문집 발간 경과보고 (2001. 12. 항용(제) 제공)

 

 ankim02-6-64s.jpg

<충익공 하담선생 유고>

 

ankim02-6-64g.jpg

<번역본--하담 김시양 문집>

1.발간 개요

가.발간 문헌 원문 소개

1) 원명 :<충익공하담선생 유고> (金濟應氏本 총 8책)

2) 저자 :하담 김시양 선생(저자소개 참조)

3) 원문 구성 내용  

(1) 제1권 : 關北紀聞 上下, 列邑紀事, 涪溪紀聞(上),  

(2) 제2권 : 涪溪紀聞(下), 紫海筆談  

(3) 제3권 : 荷潭破寂錄(上)   

(4) 제4권 : 荷潭破寂錄(下)  

(5) 제5권 : 疏箚.

(6) 제6권 : 論,序,記,跋,說,祭文,書,傳, 上樑門,墓誌,雜著  

(7) 제7권 : 賦辭, 詩  

(8) 제8권 : 詩. 附錄(壬子日記), 遺事, 家狀, 神道碑銘

 

나.발간 추진 일정

1) 번역 및 윤문, 편집 작업 : 1999. 12 -- 2001. 10.

2) 인쇄 : 2001. 10-11

3) 배부 : 2001. 11-12.

다.편집․발간 및 배부처

1) 부수 : 700부(하드 표지). 2) 쪽수 : 약850매(원문 영인본 축소 등재 포함)

3) 판형(크기): 4․6배판  

4) 배부처

     가) 전국 국공립 도서관, 대학도서관, 전국문화원에 무료 배부.

     나) 충익공 및 문중회 후손에게 유료 배부(발간비 부족액 충당)  

라.발간 총 예상 비용 : 약 3000만원 예상

1) 번역 및 편집비 : 1000만원

2) 추진운영 및 인쇄비, 우송료 : 2000만원

마.추진위원회 구성 및 조직표

1) 고문 : 金鶴應, 金泰燮, 金濟應

2) 원로위원 : 金相天, 金相春, 金元應,

3) 추진위원장 : 金斗應

4) 자문위원 :金駿應, 金佐應, 金泰榮, 金奎泰, 金奎棟

5) 부위원장 : 金益洙

6) 편집 및 운영위원장 : 金恒鏞

7) 후원회 : 안동김씨 제학공파 비안공 후손 일동

 

2. <하담 김시양 문집> 발간 경과 보고

 

 *1985년 경 항용, 상천종친을 대동하여 종손 제응씨 댁 방문. 문집 열람을 요청했으나 불허. 실패

 *1988년 경 항용, 상천, 상춘, 원응 종친 등과 제2차 제응씨 댁 방문, 문집을 열람함. 복사는 불허. 이날 상춘종친 소장 하담문집을 빌려 상경, 복사 후 컴퓨터를 이용한 번역 작업을 시작함.

 *1993년, 상석종친으로부터 제주의 익수종친을 소개 받음. 일부 내용들에 대한 번역 작업 시작.

 *1994년, 항용의 발의로 비안공 문중회에 문집 국역화 사업의 필요성 강조. 연속 강조 4년 후에 비로소 문중회의 공식 사업으로 채택

 

 1) 1998. 11 : 괴산 <비안공 문중회> 총회시 발간 계획 발표.

 2) 1999. 8. : 제주의 익수씨(충익공 13대손)에게 문집 번역 의뢰-번역 및 편집 본격 시작.

 3) 2000. 5. : 김두응, 김익수, 김항용. 서울서 기초 편집 회의.

 4) 2000. 6. 4. :<재경 비안공문중회>의 참판공(휘 언묵) 묘소 참배시-편집 및 기금 마련 협의

 5) 2000. 7. 15 : <국역 대동야승>내 일부내용 <민족문화 추진회>의 전재 승인. 요청 공문 발송 및 승인 공문 회신.

 6) 2000. 8. 9 :발간 구체안 협의. 발간 추진위원회 구성.

 7) 2000. 8. 15:편집회의-구체적 추진일정 및 편집 방법 협의.

 8) 2000. 8. 16:문집 발간 안내문 발송-충익공 후손(약70명)에게 발간 계획 및 추진, 기금 모금 내용의 안내문 우편 발송.

 9) 2000. 10. 23. : 항용, 충주의 하담리 1차 방문-만년 거주지 탐방.

10) 2000. 10. 31 :번역작업 완료. 원고 타이핑, 편집, 교정 작업 계속

11) 2001. 1. 25 : 2차 충주 하담리 방문(충주대학 최일성 교수 고증). 촬영.  

12) 2001. 8. 14 : 인쇄소 색인 작업 의뢰 및 전 원고 재교정. 3교정. 4교정

편집회의-15회

전화 또는 이메일-100여 회  

타이핑 작업-600여 쪽

원고 수정작업- 약 40여 회

하담공 만년 거주지 탐방-2회

13) 2001. 11. 3. : 초고 퇴고 완료. 인쇄 및 제본.

14) 2001. 11. 20 : 발간 완성

15) 2001 11. 25 : 발간식 및 배부

 

3. 발간 추진 기금 내역서 (2000. 6.--2001. 11. 20)

ankim02-6-64z140.jpg

 

4. 문집 내용 소개

가. 부계기문(涪溪紀聞) : 하담공(荷潭公)이 광해군 4년(1612)에 함경북도 종성(鐘城)에서 귀양살이하는 동안 집필한 견문수필집(聞見隨筆集)으로 부계는 종성의 딴 이름이다. 주로 인물의 평론에 중점을 둔 수필이다.

 

나. 자해필담(紫海筆談) : 하담공이 광해군 10년(1618)에 경북 영해(지금의 경북 영덕군 영해)로 귀양지가 옮겨 진 후 쓴 수필집이다. 국가와 정치․정치인․현인․달사․악인 등에 대한 충격적인 사건과 범상하지 않은 일, 기담(奇譚)․이사(異事)에 속하는 일들을 채록(採錄)하고 있다.

 

. 하담 파적록(荷潭破寂錄) :하담공의 세 가지 수필집 중 양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서나 가장 으뜸 되는 것이다. 부계기문과 자해필담의 특징을 다 겸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가의 다사다난하던 때의 복잡하고 반복무쌍한 국가의 중대사에 대한 이면사(裏面史)를 엄정하고 강직하고 정밀한 필치로 기록하고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이야기, 이 괄(李适) 반란, 당쟁의 이면사, 광해의 황음(荒淫)과폐모 사건(廢母事件), 인조반정(仁祖反正), 많은 현사․악인․권간과 충신들의 숱한 사연과 사적 등이 적혀있다.  

라. 소차(疏箚) :임금에게 올린 글(상소문) 들이다. 41개의 소차를 통해 공의 국사에 관련한 탁월한 지혜와 용기, 청렴결백한 공직자로서의 자세 등을 엿볼 수 있다.

 

마. 각종의 한문 문체들 : 論,序,記,說,書 등에서 공의 기발한 이론, 아름다운 문장의 짜임새,  탁월한 의견, 시대와 역사에 대한 합리적 관점 등이 잘 나타나 있다.  

 

바. 시부(詩賦)와 각종의 시문들:시부와 368수에 이르는 詩文이 있다. 여기에는 중국에 서장관으로 다녀왔던 일, 12년에 걸친 오랜 유배생활 등 풍부한 시상(詩想)등으로 당시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던 공(公)의 문학세계가 잘 나타나 있다. 구슬 같은 시어(詩語)와 아름다운 표현이 있는 서정시, 사실감 있는 묘사에 극찬하게 되는 사경시(寫景詩), 백성들에 대한 부역과 관권의 횡포에 대한 공(公)의괴로움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서사시, 가족(처,자,형제)들과 관련한 가정시 등이 있다.

 

사.임자일기(壬子日記),유사(遺事),가장(家狀),신도비명(神道碑銘):임자일기(壬子日記)는 유배를 가게된 시제(試題)사건의 시말을 기록하여 후손들에게 알리려한 것이며, 유사(遺事)와 가장(家狀), 신도비명(神道碑銘)은 하담공의 인물됨과 가계(家系)를 자세히 밝히고 있다.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