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승지공(承旨公).생몰년 미상,1440(세종22)--1476(성종7) 추정.
자(字)는 통지(通之), 과시(科試)에는 나가지 않았고, 벼슬은 장예원(掌隸院) 사의(司議)를 지냈으며, 후에 좌승지(左承旨)에 추증(追贈)됨. 향년 37세. 묘는 경기도 시흥군 개죽동에서 1968년 천안시 병천면 백전으로 천봉(遷封)함. (몰 40년 후에 증손 文肅公 悌甲의 貴로 贈 通訓大夫 通禮院 左通禮로 추증되었다고 舊譜(경진보 아류본인 김항용본)에 있음)에 기록 되어 있음.
金壽眞(김수진) : 생원공(生員公). 생몰년1452(문종2)~1512(중종7) 자(字)는 정보(靜甫), 경태(景泰), 1474년(성종5) 生員科에 입격. 수 61세. 묘는 천안시 동면 탑원리 간좌(艮坐)이다. 배위는 의인 수안이씨(遂安李氏)로 父는 목사 여해(汝諧)이다.
<봉사공(휘 鎰)> 생몰년 1536(중종31)-1588(선조21). (2010. 6. 26. 항용(제) 촬영 제공) 자는 방보(邦寶), 생원공(휘 壽眞)의 증손, 충무위공(휘 彦璋)의 손. 향년 53세. 묘소는 감찰공(휘 孟廉) 묘소의 우하단, 생원공(휘 壽眞) 우 상단 자좌(子坐)에 모셔져 있다. 공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과 도의로써 교유하였으며 절원서봉사(折苑署奉事)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배위는 문화유씨로 父는 한(漢), 祖는 흔(小+斤), 曾祖는 사직승서감사(司直承緖監事) 예후(禮后)이다. 묘는 합장했다.
김계종(金繼宗) : 죽계공 . 1556(명종11)~1614(광해6) 생부(生父)는 일(鎰)이며 자는 중윤(仲胤)이고 호는 죽계(竹溪)이다. 생원공(휘 수진)의 현손이다. 안악군수를 역임하고 향년 59세이며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묘는 병천 석항산(石項山) 계좌이다. 공은 임란 때 백의(白衣)로서 3차에 걸쳐 의주에 나아가 임금을 호위하였는데 이후 선조임금으로부터 관리로 등용 되어 4개 읍을 청백하게 다스렸다. 안악에는 타루비(墮淚碑)가 있고 선무원훈에 참여되었으며 1825(순조25)년 목천 백전의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었다. 묘소 입구에 재실이 있다. 배위는 증 정부인 청주이씨로 父는 통정대부 거(擧)이며 祖는 형복(亨福), 증조는 감찰 윤광(允光)이다.
김 호(金 昈) : 극재공(克齋公). 1584(선조17)-1631(인조9) 자는 회보(晦甫), 호는 극재(克齋), 죽계공(휘 繼宗)의 차자. 1610년(광해2) 문과 급제 후 춘방(春坊-세자 시강원)을 거쳐 사헌부 지평(持平), 집의(執義), 예천 군수, 의금부 판의금을 지냈다. 공은 광해조 때 인목대비가 갇혀 있는 서궁(덕수궁)에 숙배하여 당시의 배례 금지령을 어기자 관직에서 쫓겨나 온성(穩城)에 좌천된 일이 백사(白沙-이항복)의 북천록(北遷錄)에 실려 있다. 인조 반정 후 공은 유배지에서 몰하였는데 인조때 하담공(휘 시양)의 변호로 원래의 벼슬로 환원되어 돌아와 고향에 장사 지냈다. 배위는 정부인 삼척박씨로 父는 헌납 척평군(陟平君) 여량(汝樑), 祖는 척흥군(陟興君) 현휴(賢休)이다. 7) 金壽亨(김수형) : 승지공(承旨公).생몰년 미상,1440(세종22)--1476(성종7) 추정. 자(字)는 통지(通之), 과시(科試)에는 나가지 않았고, 벼슬은 장예원(掌隸院) 사의(司議)를 지냈으며, 후에 좌승지(左承旨)에 추증(追贈)됨. 향년 37세. 묘는 경기도 시흥군 개죽동에서 1968년 천안시 병천면 백전으로 천봉(遷封)함. (몰 40년 후에 증손 文肅公 悌甲의 貴로 贈 通訓大夫 通禮院 左通禮로 추증되었다고 舊譜(경진보 아류본인 김항용본)에 있음)에 기록 되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