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2)운산군 신도비 탐방기 (2003. 11. 26. 발용(군) 제공)
하남문화원에서 발행한 위례문화에서 확인한 운산군 신도비와 그 신도비를 서(書)하신 유연재 선조님의 필적을 확인했습니다. 상태가 좋지는 않지만 하남문화원에 탁본이 보관돼 있었습니다.
가) 운산군 신도비 소개 (1)위치 : 하남시 초이동 산4번지 (2)연대 : 중종13년(1518) (3)크기 : 전체 높이 295cm, 비신 165cm, 폭 82cm, 두께 23cm (4)찬. 서. 전 : 남곤 찬, 김희수 서, 이언호 전 (5)<原文> 有明朝鮮國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懸祿大夫雲山君謚諡恭昭公碑銘 崇政大夫行吏曹判書兼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同知經筵春秋館事南袞撰 嘉善大夫全羅道觀察使兼兵馬節度使李彦浩篆 奉正大夫守宗簿寺正兼承文院參校金希壽書 (後略)
(6)<번역문> 유명조선국 병충분의 익운 정국공신 현록대부 운산군 익시공소공비명 숭정대부행 이조판서 겸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 동지경연춘추관사 남곤이 글을 짓고 가선대부 전라도관찰사 겸 병마절도사 이언호는 전액을 쓰고 봉정대부 수종부시정 겸 승문원 참교 김희수는 글을 쓰다 (후략)
나) 신도비 사진 <신도비 사진> (전면)
<신도비 사진> (측면)
<신도비 사진> (후면)
<신도비 사진> (후면)
<비문 글- 南袞撰, 李彦浩篆, 金希壽書가 보임>
<비에 새겨진 유연재 선조님의 필적>
<하남문화원에 소장중인 탁본>
다) 운산군 소개 운산군 이계(雲山君 李誡) 1453년(단종 1)-1510년(중종 5) 조선 초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의 손자로, 밀성군 침(密城君琛)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판윤증찬성(判尹贈贊成) 민승서(閔乘序)의 딸이다. 세종말경에 운산군(雲山君)에 예봉(例封)되고,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에 처하도록 논죄되었으나 연산군이 “운산군은 지위가 높고 오랫동안 사옹원제조를 지냈으니 정배할 수 없다.”고 옹호함에 따라 면죄되었고, 1506년(중종 1) 9월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유순정(柳順汀) 등이 주도한 중종반정 때에 구수영(具壽永)·덕진군 예(德津君濊)와 함께 진성대군(晉城大君)에게 파견되어 거사한 사유를 갖추어 아뢰고 동시에 군사를 거느리고 시위, 그 공로로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공소(恭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