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희수(金希壽)1475(성종6)∼1527(중종22)--(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유연재공 소개

2. 묘소 사진

3. 주요 시문 소개

 

4. 주요 필적 자료 소개

1) 이가서법

2) 시첩

3) 간이벽온방(簡易벽瘟方)

4) 친필 법첩

5) 이색영정기

6) 동국명필

7) 탁본첩(이가서법)

 

5. 유연재공 친필 각종 비갈 소개

 1) 이인 신도비

 2) 운산군 신도비

 3) 성경온 묘갈

 4) 경기 양주지역(박건,성희안)

 5) 양성지 신도비

 6) 심응 신도비

 7) 홍상 신도비

 8) 정미수 신도비

 9) 소자파 묘비

10) 송여해 묘비

11) 김감 신도비

12) 이손 신도비

13) 정충량 묘갈

14) 안자성 묘갈 *광주지역 미 탁본 묘갈 소개

6. 안사연 탁본대회

1) 유연재공,동고공 묘비 탁본

2) 성희안 신도비 탁본

7. 이가서법 경매 입수기

8. 각종 문헌 자료

 

본문

p11.png 5. 유연재공 친필 각종 비갈 소개

11) 김감(金勘)  신도비 (2005. 12. 31. 발용(군) 제공)

 출전 : 광주금석문대관(廣州金石文大觀)

 

김감(金勘) 신도비

소 재 지 : 경기도 광주군 초월읍(草月邑)지월리(池月里) 山69-1

건립연대 : 조선 중기

   찬      : 신용개(申用漑)

   서      : 김희수(金希壽)

   전      : 김희수(金希壽)

비규모(碑規模): 총고 264cm, 비고 147cm, 폭 84cm, 후 20cm

서자경(書字徑): 전자(篆字) 6.8cm, 음기(陰記)1.8cm

비재질(碑材質): 이수(螭首) :  대리석,  비신(碑身) :  대리석, 대석(臺石) 화강암

 

조선 중기에 건립된 이 비는 비좌이수(碑座螭首)의 행태를 갖추고 있으며 이수 앞면에는 가운데의 여의주를 두 마리의 용이 농주(弄珠)하고 있는데 뒷면도 동일하며, 측면에는 운문만 있다. 대석에는 복연(覆蓮)과 안상문(眼象紋)이 있는데 장방형 판석위에 세워져 있다.

 

비의 마멸이 진행되고 있어 일부 판독이 난해한 곳이 있으며, 묘소에는 정경부인 인천채씨(仁川蔡氏)와 쌍분, 호석ㆍ상석ㆍ향로석ㆍ족석ㆍ혼유석ㆍ계체석ㆍ장명등ㆍ문인석이 있다. 그리고 1991년에 세운 비좌이수의 대리석 묘표가 있고 묘소 입구에 재실이 있다.

 

김감(1466~1509)은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헌(子獻), 호는 일재(一齋)ㆍ선동(仙洞)ㆍ안동대도호부사 원신(元臣)의 아들이며, 문정공(文靖公) 자지(自知)의 증손이다.

 

1498년(성종 20) 진사가 되었고, 이어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에 임용되었다. 1492년에는 유숭조(柳崇祖)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호당(湖堂)에서 천문ㆍ역법을 연구하였다. 1498년 홍문관부 교리에 올랐고, 이어서 교리ㆍ응교ㆍ전한ㆍ직제학을 역임하고, 1501년 (연산군 7)에 부제학이 되었다. 이어 병조참지가 되고, 동부승지ㆍ우부승지ㆍ좌부승지ㆍ우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임명되었다. 이어 호조참판에 임명되고 동지성균관사ㆍ지의금부사ㆍ홍문과대제학ㆍ추쇄도감제조(推刷都監提調) 등을 겸하였다.

 

임사홍(任士洪)과 더불어 갑자사화(甲子士禍)를 다스려 예조판서에 임명되었다. 당시 연산군의 폭정이 심화되어 금표(禁標)를 세워 도성 주변의 백성을 원방으로 이주시키고 사냥을 일삼았을 때, 그가 금표안내문을 지었고, 추천시(鞦韆詩)로써 연산군에 아첨하였다. 그 뒤 의정부우찬성을 거쳐 판중추부사로서 경상도 관찰사를 겸임하였고, 연산군에 충성을 서약하는 경서문(敬誓文)을 찬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뒤 중종반정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책록되고,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가 되어 <연산군일기>를 편찬하는데 참여하였다. 그러나 1507년(중종 2) 박경(朴耕) 등이 박원종(朴元宗) 등을 도모하려는 모의에 연좌되어 금산에 유배되었다가, 혐의가 풀려 연창부원군으로서 영경연사(領經筵事)를 담당하였다.

 

시호는 문경(문경)이다.

 

ankim02-6-46z51.jpg

 ▲ 신도비 탁본(84*147)

 

文敬公神道碑

有明朝鮮國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輔國崇祿大夫議政府贊成兼領 經筵事監春秋館事兵曹判書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

成均館事 贈諡文敬公神道碑銘幷序

資憲大夫禮曹判書兼知 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申用漑 撰

奉訓郞守禮曹正郞兼承文院校理 金希壽 書幷書

 

문경공신도비

유명조선국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보국숭록대부의정부찬성겸영경연사감춘추관사병조판서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성균관사증시문경공신도비명병서

자헌대부예조판서겸지경연사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춘추관성균관사 신용개는 글을 짓고,

봉훈랑수예조정랑겸승문원교리 김희수 글씨를 쓰고 아울러 전액을 쓰다.

 

ankim02-6-46z52.jpg

▲ 김감 묘소 전경

 

ankim02-6-46z53.jpg

 ▲ 신도비 이수 부분 및 전액(앞면)

 

ankim02-6-46z54.jpg

  ▲ 신도비

 

ankim02-6-46z55.jpg

  ▲ 부분 글씨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