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인물

p11.png 김희수(金希壽)1475(성종6)∼1527(중종22)--(서)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유연재공 소개

2. 묘소 사진

3. 주요 시문 소개

 

4. 주요 필적 자료 소개

1) 이가서법

2) 시첩

3) 간이벽온방(簡易벽瘟方)

4) 친필 법첩

5) 이색영정기

6) 동국명필

7) 탁본첩(이가서법)

 

5. 유연재공 친필 각종 비갈 소개

 1) 이인 신도비

 2) 운산군 신도비

 3) 성경온 묘갈

 4) 경기 양주지역(박건,성희안)

 5) 양성지 신도비

 6) 심응 신도비

 7) 홍상 신도비

 8) 정미수 신도비

 9) 소자파 묘비

10) 송여해 묘비

11) 김감 신도비

12) 이손 신도비

13) 정충량 묘갈

14) 안자성 묘갈 *광주지역 미 탁본 묘갈 소개

6. 안사연 탁본대회

1) 유연재공,동고공 묘비 탁본

2) 성희안 신도비 탁본

7. 이가서법 경매 입수기

8. 각종 문헌 자료

 

본문

p11.png 5. 유연재공 친필 각종 비갈 소개

12) 이손(李蓀) 신도비 (2006. 1. 1.    12. 26. 발용(군) 제공)

소 재 지 : 경기도 광주군 초월읍(草月邑) 신월리(新月里) 山22-1

건립연대 : 1520年(중종 15)

    찬     : 이  행(李  荇)

    서     : 김희수(金希壽)

비규모(碑規模): 총고 267cm, 비고 164cm, 폭 70cm, 후 22cm

서자경(書字徑): 전자(篆字) 13.0cm, 음기(陰記)3.0cm

비재질(碑材質): 이수(螭首) :  대리석,  비신(碑身) :  대리석, 대석(臺石) 화강암

 

1520년에 건립된 이 비는 귀부이수(龜趺螭首)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이수 앞면에는 용 두 마리가 가운데의 여의주를 마주 올려다 보고 있는데 운문(雲紋)에 감싸여 있고, 뒷면도 동일하며, 측면에는 용 꼬리와 운문이 있다. 귀부는 거북머리가 앞을 직시하고 목의 주름이 굵게 하나가 접혀 있으며, 앞ㆍ뒤 다리는 몸통에 부조형태로 각(刻)하여 붙였고, 꼬리도 왼쪽으로 들어 올렸다.

 

비의 마멸이 진행되고 있으나 판독이 가능하며, 묘소에는 정경부인 경주이씨(慶州李氏)와 쌍분. 육각형 호석ㆍ상석ㆍ향로석ㆍ족석ㆍ혼유석ㆍ계체석ㆍ장명등ㆍ문인석ㆍ망주석이 있다. 그리고 조선 중기에 건립된 비좌하엽(碑座荷葉)의 묘표가 각각 1기씩 있으며 조선 중기에 제작된 정경부인 경주이씨의 묘지석(묘지석) 4편은 남곤(남곤)이 묘지명을 지었으며, 김노(金魯)가 백자(白磁) 편에 글씨를 썼고, 묘소 입구에는 고덕재(高德齋)가 있다.

 

이손(1439~1520)은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방(子芳). 평안도절도사 수철(守哲)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관찰사 이맹상(李孟常)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학문은 물론 활쏘기ㆍ말타기를 잘 하여 왕명으로 선전관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조정랑ㆍ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을 역임하고, 김해부사(金海府使)ㆍ판교(判校)를 거쳐, 1492년 장례원판결사, 이어 충청도ㆍ함경도절도사, 충청도ㆍ황해도ㆍ전라도의 관찰사, 부제학ㆍ우부승지를 지냈다. 1504년(연산군 10) 한성부좌윤ㆍ우윤, 이조ㆍ여조의 참판을 거쳐, 형조ㆍ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506년(중종 1)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한산군(漢山君)에 봉하여지고, 우참찬으로 승진하였다. 1508년 좌참찬 재임시 재덕(才德)이 없고 늙음을 핑계로 치사(致仕)를 요청하였으나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그대로 유임되었다. 그 뒤 우찬성ㆍ좌찬성을 역임하고, 1512년 일본의 화호(和好) 요청을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1513년(중종 8)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진봉되고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만년에는 영의 유순(柳洵), 판서 안침(安琛) 등 남학(南學)의 친우들과 구로회(九老會)를 만들어 서로 왕래하며 즐겼다.

 

시호는 호간(胡簡)이다.

 

ankim02-6-46z56.jpg

 ▲ 신도비 탁본(70*164)

 

胡簡公 神道碑銘

有明朝鮮國秉忠奮義靖國功臣崇祿大夫左贊成兼判義禁府事漢山君 贈諡胡簡公神道碑銘幷序.

嘉善大夫工曹參判兼同知 經筵春秋館義禁府事守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李荇 撰,

通政大夫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金希壽 書.

  

호간공 신도비명

유명조선국병춘분의정국공신숭록대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한산군증시호간공신도비명병서.

가선대부공조참판겸동지경연춘추관의금부사수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성균관사 이행은 글을 짓고,

통정대부승정원우부승지겸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관 김희수가 글씨를 쓰다.

 

ankim02-6-46z57.jpg

ankim02-6-46z58.jpg

 ▲ 이손 묘소 전경

 

ankim02-6-46z59.jpg

 

ankim02-6-46z60.jpg

 

ankim02-6-46z61.jpg

 ▲ 신도비

 

ankim02-6-46z62.jpg

 

ankim02-6-46z63.jpg

▲ 신도비 부분글씨

 

ankim02-6-46z64.jpg

 ▲ 경주이씨 묘지석(동고공 諱 魯 書)

 

 <출전 : 광주금석문대관>

 

 

 

 

b0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