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공파(칠양)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판서공 휘 선(判書公 諱 愃)

  2) 대제학공 휘 승용(大提學公 諱 承用)

  3) 상락군공 휘 후(上洛君公 諱 厚)

  4) 군사공 휘 칠양(郡事公 諱 七陽)

  5) 김 진(金 塡)

  6) 김 돈(金 墩)

  7) 김삼노(金三老)

  8) 김 곤(金 坤)

  9) 김석정(金石精)

10) 김윤정(金允精)

11) 김 지(金言止)

12) 김언정(金彦禎)

13) 김 진(金 珍)

14) 김계선(金繼先)

15) 김 양(金 壤)

16) 김정일(金鼎一)

17) 김 경(金 坰)

18) 김인량(金寅亮)

19) 김익량(金翼亮)

20) 김두남(金斗南)

21) 김 감(金 堪)

22) 김영수(金永綬)

23) 김광국(金光國)

24) 김회빈(金晦彬)

25) 김인호(金寅浩)

26) 김계로(府使公 金季老)

27) 김 질(忠順衛公 諱 石質)

 

본문

p02.png 25) 김인호(金寅浩)[1820 ? 1890](순조29 ? 고종27)

 

安東人. 字는 국재(國哉) 1855(철종6년) 을묘무과(乙卯武科) 官 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都使). 선정비와 불망비가 있다.

 

配 : 전주이씨(全州李氏)

 

칠양(군사공) - 전 - 삼노 - 곤 - 윤수 - 겸 - 언택 - 순 - 준형 - 숙 - 진기 - 협 - 홍범 - 원빈 - 진익 - 인호

 

水相金公寅浩淸德善政碑 / 수사(水使) 김인호 청덕선정비

損凜九千 / 구천 냥 재정을 덜어

施惠二一 / 스물 하나 진보(鎭堡)에 혜택 베풀었다.

充補就緖 / 실마리를 찾아 보충해주니

自碧踰鬱 / 저절로 많고 적음의 균형이 맞았다.

堤屹蘇公 / 소공제(蘇公堤) 우뚝 솟고

屯遵諸葛 / 제갈둔(諸葛屯) 법도 따랐다.

活靑保赤 / 적자(赤子)를 보호하여 파랗게 살려내니

恩與海闊 / 은혜가 바다처럼 넓도다.

崇禎紀元後五丁亥 四月 日立 / 숭정기원후 다섯번째 정해년(1887) 4월 일에 세우다.

 

※ 소공제(蘇公堤) : 송(宋)나라 소식(蘇軾)이 태수를 지내면서 제방을 높게 쌓아 치수(治水)를 잘 했으므로 잘 쌓은 제방을 ‘소공제(蘇公堤)’라고 한다.

※ 제갈둔(諸葛屯) : 촉(蜀)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둔법(屯法).

 

水相國金公寅浩永世不忘碑 / 수사(水使) 김인호 영세 불망비

服燦挾광 / 좋은 옷에 솜을 끼워 입고 (고운솜광)

土沃遺畓 / 비옥한 토지에 전답이 남아있네.

賑有再生 / 구휼하여 다시 살아 나고

料無一闕 / 급료는 한번도 거르지 않았네.

臨歸損凜 / 돌아가실 때 창고를 풀어

隨事거막 / 일 마다 폐단을 고치었다. (소매거, 병막)

德被培植 / 북돋우고 심은 은덕 입어

白山更鬱 / 백산(白山)이 다시 울창해 졌다.(비음)

丙戌 八月 日 立 / 병술년(1886) 8월 일에 세움.

使令 金宗得 趙有日 林春孫 / 사령 김종득 조유일 임춘손

軍牢 李得先 / 군뢰 이득선

監董 金鎭伊 金性喆 / 감동 김진이 김성철 부산금석문(부산문화원)

 

 

 

p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