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봉익대부 밀직사사 보문각대제학 안동김공 승용지묘 원주군부인 원주원씨(奉翊大夫密直司事寶文閣大提學安東金公承用之墓 原州郡夫人原州元氏)
▲ 상락군공(휘 후) 묘소 및 묘비 (2003.4. 발용(군) 제공)
상락군 휘 후 묘비명(上洛君諱厚墓碑銘)
공의 휘는 후(厚)이시니 고려 한림학사 병부상서(高麗 翰林學士 兵部尙書) 휘 효인(諱 孝印)의 현손(玄孫)이시며 충렬공(忠烈公) 휘 방경(諱 方慶)의 증손이시고 전법판서(典法判書) 휘 선(諱 ?)의 손자이시며 보문각(寶文閣) 대제학(大提學) 충숙공(忠肅公) 휘 승용(諱 承用)의 장자이시다.
타고난 천성(天性)이 겸손하고 부지런하시고 용모(容貌)가 장준하고 엄숙하셔서 어릴때부터 조부(祖父) 판서공(判書公)에게서 학문을 수업(受業)하실 때 조부의 명령에 거슬리는 일이 없었고 밤 낮으로 게을리 하시는 일이 없으니 저술(著述)에 능하시고 겸해서 전서(篆書)와 예서(隸書)를 배우셔서 성년(成年)이 되어서는 문장(文章)과 필법(筆法)이 세상사람의 귀를 울렸다 한다.
여흥민씨(驪興閔氏)와 혼인하니 너그럽고 온순한 덕(德)이 있었으며 삼남삼녀를 낳으시고 공은 일찍이 과거공부를 그만 두시고 산수(山水) 좋은곳에 뜻을 붙이시어 경서(經書)의 도리(道理)를 독실하게 실행하시더니 충혜왕(忠惠王)이 여러번 에물(禮物)을 보내어 음직(蔭職)을 내리니 광정대부(匡靖大夫) 검교(檢校)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내시면서 충성을 다하여 임금을 섬기고 정성을 다해서 나라를 도움으로 해서 상락군(上洛君)에 봉(封)하였고 원나라에 들어가서 황제(皇帝)로부터 합포만호(合浦万戶)의 벼슬을 받으셨으나 생년(生年)도 졸년(卒年)도 모두 전해진 바 없다.
장남 칠우(七祐)는 밀직사사(密直司使)를 지내셨고 이남(二男)에 칠림(七霖)은 개성윤(開城尹)을 지내셨으며 삼남(三男) 칠양(七陽)은 호(號)가 강은(康隱)으로 수안군사(遂安郡事)를 지냈으며 증직(贈職)이 이조참판(吏曹參判)이며 따님은 함양박거실(咸陽朴居實)에게 출가하니 벼슬이 판사(判事)요 다음은 선산김군정(善山金君鼎)이니 벼슬이 대언(大言)이며 삼녀는 광주 노숭(光州 盧崇)이요 관(관)이 정승(政丞)으로 시호가 경평공(敬平公)이라. 강은공(康隱公)이 삼남을 낳으시니 장남에 괄(土+舌)은 진사로서 후손이 없고 다음에 진(塡)과 돈(墩)은 차레로 문과(文科)에 올라 벼슬이 모두 직제학(直提學)이며 진(塡)이 일남 삼노(三老)를 낳으니 토산현감(兎山縣監)이며 돈(墩)이 생일남(生一男) 계로(季老)를 낳으니 담양부사(潭陽府使)이며 그 이하는 모두 기록하지 못한다.
이조중엽(李朝中葉)에 와서 조(祖)자(子) 손(孫) 삼대(三代)의 묘앞에 근근(僅僅)히 상석(床石)은 놓았으나 비석(碑石)까지는 미쳐 세우지 못하였고 세구연심(歲久年深)하여 상석마저 이미 깨어졌는데 지난 신축년에 후손 영래(榮來) 봉묵(鳳?) 경묵(敬?)등이 발의(發議)해서 종중에서 신석(新石)으로 갈고자 하였으나 재력이 미치지 못하여 다만 충숙공(忠肅公)의 묘갈(墓碣)만 세우고 아래 두위는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가 금년(今年)봄에 이르러서 다시 공론(公論)이 되어 장차 돌을 구하기로 하고 불초(不肖)를 불러 비에 새길 글을 맡기니 중회(重會)는 두서(頭序)없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삼가 기록을 하였노라.
孔子 誕降後四十二庚戌(西紀一九七0年)正月十六日
二十三世孫 重會 謹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