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공파(칠양)

(목록 제목을 선택하시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 판서공 휘 선(判書公 諱 愃)

  2) 대제학공 휘 승용(大提學公 諱 承用)

  3) 상락군공 휘 후(上洛君公 諱 厚)

  4) 군사공 휘 칠양(郡事公 諱 七陽)

  5) 김 진(金 塡)

  6) 김 돈(金 墩)

  7) 김삼노(金三老)

  8) 김 곤(金 坤)

  9) 김석정(金石精)

10) 김윤정(金允精)

11) 김 지(金言止)

12) 김언정(金彦禎)

13) 김 진(金 珍)

14) 김계선(金繼先)

15) 김 양(金 壤)

16) 김정일(金鼎一)

17) 김 경(金 坰)

18) 김인량(金寅亮)

19) 김익량(金翼亮)

20) 김두남(金斗南)

21) 김 감(金 堪)

22) 김영수(金永綬)

23) 김광국(金光國)

24) 김회빈(金晦彬)

25) 김인호(金寅浩)

26) 김계로(府使公 金季老)

27) 김 질(忠順衛公 諱 石質)

 

본문

p02.png 26) 김계로(府使公 金季老) (2003. 4. 14. 발용(군) 제공)

 

 

ankim04-4-34.jpg

 

 

묘비명

府使公季老墓碑銘(부사공 계로 묘비명)

 

담양부사(潭陽府使) 김공(金公)의 휘(諱)는 계로(季老)니 안동씨(安東氏)는 계출(系出) 신라(新羅) 경순왕(敬順王)이라 지고려(至高麗)에 유(有) 휘(諱) 방경(方慶)은 당세명장(當世名將)으로 봉상낙군(封上洛君)하니 시(諡)는 충렬(忠烈)이라 시생(是生) 휘(諱) 선()은 봉익대부(奉翊大夫) 전법판서(典法判書) 상장군(上將軍)이며 시생(是生) 승용(承用)은 대제학(大提學)시(諡)는 충숙(忠肅)이니 공(公)의 고조(高祖)요 증조(曾祖) 후(厚)는 상낙군(上洛君)이요 (祖) 칠양(七陽)은 지(知) 군사(郡事)로 사사(師事) 이가정(李稼亭)하며 여(與) 정포은(鄭圃隱) 이목은(李牧隱) 및 재종(再從) 척약제(惕若齊)로 창명(倡明) 성리학(性理學)하고 급사옥(及社屋)에 강진선조하(康津先兆下)에 은거(隱居)하여 인호(因號) 강은(康隱)하고 누징불취(累徵不就)하니 증 이조참판(贈 吏曹參判)이라 고 돈(墩)은 본조태종조(本朝太宗朝)에 등(登) 문과(文科)하여 관지(官至) 가선직제학(嘉善直提學) 상(上)이 특사역기(特賜驛騏)하야 이편효양(以便孝養)하다 비정부인(?貞夫人) 광주노씨(光州盧氏)는 참의(參議) 상의여(尙議女) 모년(某年)으로 생공(生公)하니 의표준수(儀表俊秀) 재는초범(才能超凡)하여 관지(官至) 담양부사(潭陽府使) 사유치적(使有治積)하다.

 

묘(墓)는 강진작천면황곡촌후해좌(康津작川面黃谷村後亥坐)라 배영인(配令人) 강릉함씨(江陵咸氏)는 동원군(東原君) 정평공(定平公) 부림(傅霖)의 여(女)라. 묘는 광주구천면고다지동간좌(廣州龜川面古多只洞艮坐) 유갈(有碣)이라. 남(男) 석정(石精)은 문과(文科) 이조좌랑(吏曹佐郞) 여(女)는 적 안근(適安謹) 관첨사(官僉使) 손남 정준(孫男 廷俊)은 별좌(別坐) 정언(廷彦)은 함종현령(咸從縣令) 정건(廷健)은 충순위(忠順衛)며 정언남(廷彦男) 빈()은 가선(嘉善) 정건남(廷健男) 질()은 충순위(忠順衛)라.

 

이하(以下)는 석불용진서(石不容盡書)라.

 

오호(嗚呼)라 공지유분(公之有墳)이 오백여재(五百餘載)라 구유갈(舊有碣)이러니 석륵태몰(石?苔沒)하여 불가효해(不可曉解) 고(故)로 척연지구(?然之久)에 십육대손(十六代孫) 경묵(敬默)이 여질원래(與疾遠來)하여 식귀수의이(式貴隧儀耳)

檀紀 四三二二年 十月

光山 盧仁圭 謹撰書

 

 

 

 

p20.png